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주거지내 상업화 발생영역에서 군집형성현상과 영향요인 연구 - 가로수길을 대상으로 -Commercial Cluster Characteristics in Residential District Focusing on Garosu Street

Other Titles
Commercial Cluster Characteristics in Residential District Focusing on Garosu Street
Authors
홍하연구자훈
Issue Date
Dec-2016
Publisher
한국국토정보공사
Keywords
Commercial road; Gentrification; Garosu street; Spatial analysis; Factor analysis; 상업가로; 젠트리피케이션; 가로수길; 공간통계분석; 요인분석
Citation
지적과 국토정보, v.46, no.2, pp.57 - 77
Indexed
KCI
Journal Title
지적과 국토정보
Volume
46
Number
2
Start Page
57
End Page
7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53354
DOI
10.22640/lxsiri.2016.46.2.57
ISSN
2508-3384
Abstract
본 연구는 주거지 내 상업화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가로수길을 대상으로 제인제이콥스의 활성화 가로 요인을 적용하여 활성화 요인들의 공간적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동질성을 갖는 특성들끼리 군집을 이루고 있는 유형을 분류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의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가로수길은 의류 및 잡화 등 패션가로의 주된 장소성 기능이 집중되어 특색있는 가로를 형성하고 있었고, 주변 식음용도의 상점들이 그 기능을 받쳐주는 요인이 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건축면적 외 공지의 활용여부를 보면, 메인가로는 쇼윈도 진열 및 상품의 적재가 이루어지고 내부의 음식점 및 카페는 테라스형 좌석 조성, 그리고 간선도로변은 보행공간으로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간선가로와 메인가로는 물판 위주 및 통과공간으로서의 기능이 강화되고 휴식을 취하거나 체류할 수 있는 공간은 내부 블록에서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가로수길 내에서 건축물의 신축과 공실이 이어지는 소모적인 현상은 도심공동화와 가로가 가지는 자체의 정체성을 상실하는 주거환경의 부정적인 효과로 이어질 수 있어서 주거민과 상인이 협력하여 발전시킬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도시대학원 > 서울 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oo, Ja Hoon photo

Koo, Ja Hoon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 (DEPARTMENT OF URBAN AND REGIONAL DEVELOPMENT)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