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재활실무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역사회중심재활 서비스 종사자들의 만족도 및 교육 효과open accessA Study on the Effects of In-Servic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and Program Satisfaction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Workers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In-Servic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and Program Satisfaction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Workers
Authors
조계엽김완호김정아
Issue Date
Oct-2016
Publisher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Keywords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workers; education program; 지역사회중심재활 종사자; 교육프로그램
Citation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59, no.4, pp.115 - 132
Indexed
KCI
Journal Title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ume
59
Number
4
Start Page
115
End Page
13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53752
DOI
10.20971/kcpmd.2016.59.4.115
ISSN
2288-3843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서 장애인 재활 서비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재활실무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교육만족도, 교육과목 내용 이해도 및 재활실무적용성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원시실험설계이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지역사회에서 장애인 재활서비스 종사자들이며 K재활병원에서 3일과정으로 실시하는 재활실무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모든 교육생을 대상으로 교육과목 만족도, 재활실무 교육프로그램 교육내용 이해도와 실무적용성을 교육실시 전과 교육실시 후에 자가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평가하여 차이를 검정하였다. 또한 종사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종사자들은 간호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 순위는 물리치료사였으며 작업치료사, 사회복지사, 보건직군, 행정직군, 운동처방사, 치위생사 등의 직군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교육만족도 평균은 4.40(0.52)이었으며 교육내용이해도와 실무적용성은 모두 유의하게(p<.01)로 향상되었다. 일반적 특성중에 교육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것은 전문직종(p<0.01), 학력(p=0.006),주 업무(p=.012)이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재활실무 교육프로그램이 지역사회 재활서비스 종사자들의 재활실무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지역사회중심재활 서비스 종사자들의 직군별 재활실무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며, 또한 지역사회중심재활 서비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재활실무 지식과 태도, 그리고 수행능력 평가도구를 개발을 제언한다.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ung A photo

Kim, Jung A
서울 간호대학 (서울 간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