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근린환경특성이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서울서베이 2013년 자료를 중심으로An Analysi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Affecting Walking Satisfaction - Focused on the ‘Seoul Survey’ 2013

Other Titles
An Analysi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Affecting Walking Satisfaction - Focused on the ‘Seoul Survey’ 2013
Authors
Lee, Su gie고준호이기훈
Issue Date
2016
Publisher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Keywords
보행만족도; 근린환경; 토지이용; 다수준 모형; 다수준 순서형 로짓모형; 서울서베이; Pedestrian Satisfaction; Neighborhood Environment; Land Use; Multi-level Model; Multi-level Ordered Logit Model; Seoul Survey
Citation
국토계획, v.51, no.1, pp.169 - 187
Indexed
KCI
Journal Title
국토계획
Volume
51
Number
1
Start Page
169
End Page
18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55481
ISSN
1226-7147
Abstract
자동차 교통은 편리한 이동성과 대중성으로 현대인의 삶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를 잡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 중심적인 생활양식은 교통체증, 교통사고, 환경오염, 신체활동 부족 등 여러 가지의 부정적인 영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많은 도시에서 자동차 중심적인 생활양식에서 벗어나 인간 중심적이고 보행 친화적인 가로환경조성사업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서울시는 1997년 ‘걷고 싶은 도시 만들기’ 사업을 시작으로 서울시 보행환경 기본계획을 수립하여본격적으로 보행친화도시 조성 정책을 시행하였다. 또한, 2013 ‘보행 친화도시 서울 비전’을 통해 보행전용거리, 보행친화구역, 생활권 보행자 우선도로등을 도입하여 보행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보행친화도시 조성사업은 대부분 가로의 단편적인 환경개선 사업에 치중하여 주민들의 보행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인구·사회·경제적 특성과 근린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근린지역의 보행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포함하고 있는서울서베이 2013년 자료를 활용하여 근린환경 특성이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서울서베이 2013 원자료를 행정동 단위로 구축하여 분석하였으며, 개인과 가구의 특성뿐만 아니라 근린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지적 특성과 건축물, 토지이용, 가로의 형태, 공원과 대중교통 접근성 등 객관적으로 측정한 물리적 환경 변수를 포함하였다. 분석모형은 보행만족도 자료의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다수준 모형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근린단위의 생활권에서 보행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환경 특성을 도출하고 보행친화적인 근린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walking satisfaction using the Seoul Survey 2013. We use the multi-level models that examine the impact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on walking satisfaction, controlling for household and neighborhood effects.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re very important variables for walking satisfaction. Regarding neighborhood environments, subjectively measured neighborhood environment variables such as crime risk, noise, air pollution, parking problem and other neighborhood environment variabl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of neighborhood walking satisfaction. In particular, walking safety and amenity variables are very important for pedestrians’ walking satisfaction. Some neighborhood physical environment variables such as railway or highway pass are also significant. Such border vacuum variables show negative associations with walking satisfaction. Lastly, land use and road network variables do not show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to the level of pedestrian’s walking satisfaction. We summarize key findings and discuss policy implications to improve neighborhood walking satisfaction in Seoul, Korea.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공과대학 > 서울 도시공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Sugie photo

Lee, Sugie
COLLEGE OF ENGINEERING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