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교육고용패널로 본 우리나라의 사회이동성 분석open accessAn Analysis on the Social Mobility in Korea using KEEP

Other Titles
An Analysis on the Social Mobility in Korea using KEEP
Authors
김성태전영준임병인
Issue Date
Aug-2013
Publishe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Keywords
KEEP; Social mobility; Upward mobility; Downward mobility; Korean SAT score;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사회이동성; 상향이동; 하향이동; 수능성적
Citation
직업능력개발연구, v.16, no.2, pp.1 - 28
Indexed
KCI
Journal Title
직업능력개발연구
Volume
16
Number
2
Start Page
1
End Page
2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62148
DOI
10.36907/krivet.2013.16.2.1
ISSN
2288-2014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자료로 출생시점 대비 고졸시점, 고졸시점 대비 대졸 이후 취업시점의 사회계층 이동성을 살펴보고, 그 결정요인과 수능성적 및 취업 이후 소득결정요인을 추정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첫째, 고졸시점과 취업시점의 사회계층간 이동성 추이가 출생시점과 고졸시점 간 패턴과 유사하였다. 둘째, 중등교육은 사회이동성에 도움을 주지만, 대학교육은 그렇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능점수 결정요인 추정결과, 부모교육수준, 학습 관련 변수, 개인적인 요인들이 수능성적에 영향을 주었고, 출생시점과 고졸시점간의 계층 이동성 결정요인 추정결과와 유사하였다. 넷째, 직장규모가 클수록, 근무기간이 길수록, 정규직일수록 그리고 개인적 요인과 인턴경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취업 이후 소득을 높이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다섯째, 남자일수록, 근무기간이 길수록, 직장규모가 클수록, 정규직일수록 고졸시점과 취업시점간의 계층의 상향이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양(+)의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서 개인의 사회적 이동성 결정에는 주어진 환경요인보다 자신의 노력과 같은 후천적인 요인이 더 중요함을 시사해준다.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경제금융대학 > 서울 경제금융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un, Young Jun photo

Chun, Young Jun
COLLEGE OF ECONOMICS AND FINANCE (SCHOOL OF ECONOMICS & FINANC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