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정서 이해 학습활동 연구-고려속요를 중심으로-open accessThe Teaching-learning Activity about Emotion in the Textbooks of High School Literature

Other Titles
The Teaching-learning Activity about Emotion in the Textbooks of High School Literature
Authors
류수열
Issue Date
Aug-2012
Publisher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Keywords
Koryeo-sokyo; Emotion; Teaching-learning Activity; Teaching Material; Content Learning; Target Learning.; 고려속요; 정서; 교수-학습 활동; 교과서; 내용 학습; 목표 학습
Citation
고전문학과 교육, no.24, pp.39 - 66
Indexed
KCI
Journal Title
고전문학과 교육
Number
24
Start Page
39
End Page
6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64924
DOI
10.17319/cle.2012..24.39
ISSN
1598-7108
Abstract
이 연구는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고려속요 작품을 중심으로 정서 이해 학습 활동의 양상을 분석하여 문학교육에서 정서의 위상을 정립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나아가 단원 학습 목표와 학습 활동의 관계에 관하여 하나의 쟁점을 제기하고자 한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정시가 수록될 경우 정서 관련 학습 활동은 시적 소재와 주제, 배경, 상황, 의지, 자세, 태도, 욕망, 분위기, 어조 등 거의 모든 요소와 연동되어 구성된다는 점. 그리하여 시적 화자의 정서는 작품의 해석이나 감상을 위한 단서로 활용되곤 한다는 점이다. 또한 특정한 정서를 지칭하는 용어는 활동 지시문에서는 은폐되는 경향이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시적 언어의 함축성을 고려한 결과로 간주할 수 있겠다. 정서 관련 학습 활동은 단원 학습 목표와 무관하게 거의 모든 단원에 배치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이는 시적 화자의 정서가 서정시에서는 본질적이고 항존적인 요소로서, 정서를 파악하는 것은 교수-학습 과정에서 필수적인 과정임을 말해 준다. 그리고 이는 국가 수준의 의도된 교육과정과 교실 수준의 전개된 교육과정을 매개하는 역할을 맡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교과서의 학습 활동은 내용 학습에 이어 목표 학습이 제시되는 구도를 가진다. 그런데 만일 정서가 내용 중에서도 가장 압축적인 실체라면, 이러한 구도는 사리에 어긋난다 하겠다. 단원 학습 목표가 운율에 있든, 이미지에 있든 그것은 궁극적으로 시적 화자의 정서를 좀 더 정치하게, 혹은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단계로 작용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목표 학습이 선행되고 내용 학습이 이를 뒤따르는 교수-학습 활동의 구도를 제안하고자 한다.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사범대학 > 서울 국어교육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Ryu, Su yeol photo

Ryu, Su yeol
COLLEGE OF EDUCATIO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