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배당변화와 미래 수익성 예측open accessDo Dividend Policy Changes Predict Future Earnings?

Other Titles
Do Dividend Policy Changes Predict Future Earnings?
Authors
전상경최설화
Issue Date
Mar-2011
Publisher
한국금융공학회
Keywords
배당의 정보효과; 이익변화; 배당가능이익; 배당률; 자사주매입; Dividend; Information Content; Earnings Changes; Distributable Income; Signaling Theory; Stock Repurchase
Citation
金融工學硏究, v.10, no.1, pp.1 - 32
Indexed
KCI
Journal Title
金融工學硏究
Volume
10
Number
1
Start Page
1
End Page
3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68846
DOI
10.35527/kfedoi.2011.10.1.001
ISSN
1738-124X
Abstract
배당의 정보효과를 분석한 국내 선행연구들은 기업별 배당규모를 측정할 때, 순이익 대비 배당금을 의미하는 배당성향을 주로 사용하였다. 하지만 배당지급에 대한 규제가 약한 미국 등 선진 자본시장과는 달리, 한국에서는 주로 이익잉여금에 근거한 배당가능이익의 범위 내에서 배당을 지불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배당가능이익 배당률의 측면에서 배당의 정보효과를 추가로 분석해 볼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국내 기업 배당규모의 횡단면적 차이를 반영하는 변수로 배당가능이익 배당률을 제시하고, 배당가능이익 배당률을 사용하여 배당의 정보효과를 검증한다. 배당의 정보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배당변화와 향후 기업이익 변화와의 사후적인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배당의 정보효과에 대한 보다 직접적인 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배당비율 추정에는 현금배당뿐만 아닌 자사주 순매입도 포함하여 최근 기업들의 배당정책을 합리적으로 반영하였다. 배당가능이익 배당률의 변화를 설명변수로 하고, 기업이익의 변화율을 종속변수로 하여, 2003년부터 2009년까지 한국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배당기업들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배당의 정보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배당가능이익 배당률과 미래이익의 변화는 오히려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 상황에서 배당의 정보효과를 부인하는 결과로 해석된다. 미래이익의 측정을 영업이익과 경상이익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했으나 분석결과는 강건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사주 순매입을 도입한 확장된 배당비율들도 현금 배당비율과 같이 배당의 정보효과를 지지하지 않았다. 다만 배당성향을 이용한 분석에서는 배당성향의 증가와 미래이익의 증가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데, 이는 기업이익의 평균회귀 현상에 의해 도출된 무의미한 관계 (spurious relationship)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경영대학 > 서울 파이낸스경영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un, Sang Gyung photo

Jun, Sang Gyung
SCHOOL OF BUSINESS (DEPARTMENT OF FINANC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