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關東別曲>의 교재사적 맥락The Context of <Gwandongbyeolgok> on the history of textbook

Other Titles
The Context of <Gwandongbyeolgok> on the history of textbook
Authors
류수열
Issue Date
Jun-2006
Publisher
한국어교육학회
Keywords
Gwnadongbyeolgok; language textbook; history of textbook; learning activity; category of contents; substance-based view of literature; attribute-based view of literature; activity-based view of literature; text-based view of learning; reader-based view of learning; view of objective knowledge; view of constructive knowledge.; 관동별곡; 국어 교재; 교재사; 학습 활동; 지식 범주; 내용 범주; 실체 중심 문학관; 활동 중심 문학관; 속성 중심 문학관; 텍스트 중심 학습관; 독자 중심 학습관; 객관주의 지식관; 구성주의 지식관.; Gwnadongbyeolgok; language textbook; history of textbook; learning activity; category of contents; substance-based view of literature; attribute-based view of literature; activity-based view of literature; text-based view of learning; reader-based view of learning; view of objective knowledge; view of constructive knowledge.
Citation
국어교육, no.120, pp.435 - 464
Indexed
KCI
Journal Title
국어교육
Number
120
Start Page
435
End Page
46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81336
ISSN
1226-3958
Abstract
이 글은 1차 교육과정기에서부터 국어 교재에서 부동의 레퍼토리로 자리하고 있는 <관동별곡>이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변천에 따라 어떠한 위상으로 학습자들에게 제시되었는가를 사적으로 탐색한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관동별곡>이 소속된 단원을 근거로 삼을 때, 1차~4차까지는 고전으로서의 위상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었고, 4차에서부터는 시가라는 장르의 위상이 부각되면서 5차까지 지속되었으나, 6차 이후로는 언어 활동 자료로 제시되었다. 문학관을 기준으로 하면, 4차와 5차를 경계로 실체 중심의 문학관과 활동 중심의 문학관이 각각 지배적인 문학관으로 작용하였고, 여기에 3차 이후에서는 속성 중심의 문학관에 근거한 학습 활동이 지속적으로 결합하고 있다. 작품의 가치 면에서 5차 이전과 5이후가 작품의 개별적 특수성에 대한 강조와 문학적 공감의 보편성에 대한 강조가 대비를 이루고, 학습관 측면에서는 텍스트 중심과 독자 중심이, 지식관 측면에서는 객관주의 지식관과 구성주의 지식관이 대비를 이루고 있다. 학습 활동 요소를 추출하는 근거를 기준으로 삼으면, 텍스트 자체의 내재적 자질에 근거한 학습 활동 요소 도출이 6차까지 지속되다가, 7차에서부터는 학습 목표에 근거한 도출 양상이 나타난다. 4차까지의 학습 활동은 작품의 전모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도모하도록 유도하는 경향 속에 개별 항목들이 단순 병렬적으로 제시된 반면, 5차에서부터는 특정 요소에 집중화되면서 항목 간의 위계화 및 단계화가 시도되었다. 내용 범주 기준에서는 4차까지가 지식 범주가 중심이었던 반면, 5차 이후에는 지식 범주에 기반한 경험 범주가 주된 기반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사범대학 > 서울 국어교육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Ryu, Su yeol photo

Ryu, Su yeol
COLLEGE OF EDUCATIO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