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노동시장 변화와 노동자 집단 내 일자리 위험의 차별적 인식: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가 불안정 노동에 미친 차별적 위험Discriminatory Perception of Labor Market Change and Job Risk in Workers’ Group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Discriminatory Risk of COVID-19 on Precarious Work

Other Titles
Discriminatory Perception of Labor Market Change and Job Risk in Workers’ Group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Discriminatory Risk of COVID-19 on Precarious Work
Authors
서용선이상민
Issue Date
Feb-2023
Publisher
한국산업노동학회
Keywords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VID-19; labor market risk; segmented labor market; precarious work; 4차 산업혁명; 코로나19; 노동시장 위험; 분절 노동시장; 불안정 노동
Citation
산업노동연구, v.29, no.1, pp.139 - 177
Indexed
KCI
Journal Title
산업노동연구
Volume
29
Number
1
Start Page
139
End Page
17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84942
ISSN
1598-4133
Abstract
이 연구는 이른바 4차 산업혁명으로 명명된 기술의 진보와 그에 따른 노동시장 변화가 미치는 일자리에 대한 위험 그리고 코로나19의 대유행에 의한 노동시장 충격을 사회적 위험으로 규정하고, 그러한 사회적 위험이 불안정 노동의 확대 및 분절된 노동시장구조 속에서 노동자 집단에 따라 차별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논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이 같은 사회적 위험을 개인의 인식 차원에서 다루면서 미래일자리에 대한 인식으로 구체화하여 노동시장의 위험에 따른 인식 차이로 접근하였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제도에 대한 인식 및 노동시장 지위를 중심으로 분석을 이어나갔다. 분석의 결과 노동시장에서 위험의 경험은 미래 일자리 인식을 부정적으로 보는 경향으로 이어졌고, 사회 및 노동제도에 대한 인식 역시 일자리 전망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일자리 위험에 대한 인식은 노동자 집단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노동자 집단일수록 자신의 일자리에 대한 기술 변화의 영향을더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동시장에서의 지위 차이는 위험의경험과 결합하여 일자리 위험에 대한 인식 차이를 더욱 확대하고 있었다. 이는 노동시장에서의 위험의 경험이 노동자들이 노동시장에서 가진 지위에 따라서 기술 변화에따른 일자리 전망 또한 차별적인 형태로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사회과학대학 > 서울 사회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Sang Min photo

Lee, Sang Min
COLLEGE OF SOCIAL SCIENCES (DEPARTMENT OF SOCIOLOG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