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형 정서적 자활 프로그램 시행과 효과성 평가 - 경기지역 지역자활센터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open access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sychological Self-sufficiency Program in South Korea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sychological Self-sufficiency Program in South Korea
Authors
최상미홍영표김한성
Issue Date
Dec-2017
Publisher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Keywords
Self-Sufficiency Program; Psychological Self-Sufficiency; Group Work Program;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자활 사업; 정서적 자활; 집단프로그램; 프로그램 개발; 프로그램 평가
Citation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19, no.4, pp.179 - 199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ume
19
Number
4
Start Page
179
End Page
19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8559
DOI
10.22944/kswa.2017.19.4.008
ISSN
1598-5555
Abstract
본 연구는 2001년부터 국민기초생활보장 조건부수급자를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자활사업이 기술적 측면의 직업능력개발과 사업단 운영 등 경제적 자활에만 초점을 둠으로써 자활참여자들이 변화해가는 과정을 간과해왔다는 문제제기로부터 출발한다. 본 연구는 자활은 경제적 자활을 포괄하는 개념으로서, 자활을 위해서는 경제적 접근과 함께 심리정서적, 사회적 접근이 함께 이루어져야한다고 제안하며, 미국에서 개발되어 실시되고 있는 정서적 자활 프로그램인 ‘불가능을 가능으로(TIP: Transforming Impossible to Possible)’ 프로그램을 자활전문가 7인이 함께 수정 보완하는 작업을 통해 한국형 정서적 자활 프로그램으로 수정하여 제안하고, 이를 경기지역 10개 자활센터 이용자 104명에게 실제로 수행하여 효과성을 평가한다. 정서적 자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통제집단과의 비교를 통해 검증한 결과, 정서적 자활 프로그램은 참여자들의 정서적 역량강화, 동기부여, 자기효능감, 자존감 향상 등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본 연구는 한국형 정서적 자활 프로그램의 자활센터에의 적용 방안으로 사례관리와의 연계 활용 가능성을 제안한다.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사회과학대학 > 서울 사회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Han sung photo

Kim, Han sung
COLLEGE OF SOCIAL SCIENCES (DEPARTMENT OF SOCIOLOG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