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초·중 사회 디지털교과서의 자료 및 기능 분석Analysis of Learning Materials and Functions added to 2014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s

Other Titles
Analysis of Learning Materials and Functions added to 2014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s
Authors
이미미김혜숙조경철
Issue Date
2015
Publisher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Keywords
사회 디지털교과서; 사회 서책교과서; 콘텐츠 분석; 자료; 기능; Digital Textbook; social studies textbook; contents analysis; learning materials; functions
Citation
사회과교육, v.54, no.4, pp.85 - 102
Journal Title
사회과교육
Volume
54
Number
4
Start Page
85
End Page
10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0470
ISSN
1225-0643
Abstract
2014년부터 연구학교에 시범 적용된 사회 디지털교과서는 서책교과서를 기반으로 자료와 기능을 추가하고 디지털 환경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교과서이다. 이러한 디지털교과서의 특징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서책교과서와 차별화되는, 디지털교과서에 고유한 자료와 기능은 무엇이며, 얼마나 그리고 어디에 추가되었는지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필요에서 2014년부터 적용된 4종의 초등학교 및 중학교 사회 디지털교과서에 추가된 자료와 기능의 유형과 분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교과서에는 한 쪽당 1개 이상 2개 미만의 추가 자료가 탑재되어 있었으며, 자료 유형 측면에서는 동영상이나 애니메이션 등 멀티미디어 자료가 아닌 텍스트 자료가 전체 자료 대비 64%라는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었다. 자료의 분포 양상에서는 학교급별 차이가 뚜렷이 나타났으나, 사회과 고유의 특성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디지털교과서에 추가된 기능은 14가지로 다양하였으나, 보편적으로 사용된 기능은 한정적이었다. 또한 기능 구현이 구성요소 또는 자료에 따라 정형화된 양상을 나타내기도 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차후 디지털교과서에는 지나치게 방대한 자료, 또는 교수학습 목적이 불분명한 자료가 탑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라인 설정의 필요성과, 추가된 자료의 멀티미디어적 특성을 보다 강조할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아울러 보다 다양한 기능의 활용과 교수학습에의 흥미 제고 또는 효율성 제고를 위한 기능의 활용을 적극 고려해야 할 필요성 역시 제시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History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