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중요한 역사 내용이란?: 내용 선정 기준 연구 분석 및 시사점Historically significant or not?: Review of research on selecting content in teaching history

Other Titles
Historically significant or not?: Review of research on selecting content in teaching history
Authors
이미미
Issue Date
2015
Publisher
역사교육연구회
Keywords
Historical significance; criteria for selecting content; basics; core; importance; 역사적 중요성; 내용 선정 기준; 기초; 중심; 핵심
Citation
역사교육, no.135, pp.121 - 158
Journal Title
역사교육
Number
135
Start Page
121
End Page
15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0648
ISSN
1225-0570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중요한 역사 내용을 어떻게 파악하는가에 관한 논의를 역사학 방법론, 교육과정 이론, 역사교육개설서, 그리고 현재 역사 교육과정 담론이라는 다양한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이상의 검토를 통해, 중요한 내용에 접근하는 방식이 역사학과 교육학에서 상이하게 나타나며, 국내·국외를 막론하고 내용 선정 기준을 확고히 하려는 노력은 역사학계에 비해 역사교육계에서 보다 직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크게 나누어 볼 때, 내용 선정 기준은 그 뿌리를 교육과정 이론에 두고 있는 경우와 역사가의 작업에 두고 있는 경우가 있었으며, 우리의 역사교육개설서 내용 선정 기준은 교육과정 이론가로 분류되는 타바의 커리큘럼에 기초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준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내용을 선정하거나 일선에 있는 교사가 수업 내용을 선정할 때 널리 사용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교육과정 담론에서 이와 같은 기준이 거론되는 경우를 찾아보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외부적으로 표명되는 교육과정 담론에서 내용 선정과 관련되어 명확히 드러나는 방향은 “핵심”의 선정과 교육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핵심 성취기준, 핵심 내용, 핵심개념, 핵심 원리 등에 나타난 “핵심”의 의미를 “기초”와 “중심”이라는 축으로 분석하고, 교육 내용 선정에서 각각의 접근 방식을 살펴보았다. 문헌 검토에 의존했던 본 연구는 역사학 방법론 및 교육과정 이론에 대한 검토가 서양 역사이론에 치우쳐 있다는 한계 및 교육과정 담론 분석이 참여관찰 조사나 탐문조사를 결여하고 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교육 내용 선정을 이론적 측면에서 살핌으로써 역사 내용 선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정치적·이데올로기적 요인에 대한 충분히 검토를 하지 못한 한계 또한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교육과정에서 중요 내용 선정이라는 측면에서 다양한 학계의 문헌을 검토·분석하고 이로부터 현재 역사내용 선정 기준 논의를 역사학, 교육학, 그리고 현재 교육과정 담론 속에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곧 본 연구는 내용 선정에 있어 현재의 상황을 분석적으로 드러내 보이고 이를 통해 후일의 내용 선정 논의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 하에 진행된 분석 결과에 토대한 시사점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교육에서의 중요한 내용의 선정은 역사학에서 중요성을 결정하는 것과는 다른 접근을 필요로 함을 인지하되, 선정하는 내용에 역사학의 본질을 담아내려는 노력이 보다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역사 내용의 선정은 역사학과 유리되어 이루어질 수 없으며, 이런 측면에서 역사학에서 중요한 내용은 무엇인지, 그리고 역사학에서 중요한 내용은 어떻게 파악하는지를 반영하려는 노력이 보다 직접적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여타 사회과학과는 달리 전문 역사가들이 사용하는 방법론은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기에(Gaddis, 2002), 역사학에서 무엇을 왜 중요하다고 인식하는지, 그리고 어떤 과정을 통해서 이러한 중요성에 대한 합의를 이루어 나가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쉽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공교육에서 가르치는 역사는 학문 분야에서도 중요한 내용이어야 하며, 이러한 중요성을 설명하는 기준 자체가 보다 역사학에 기초할 필요가 있다. 역사가는 특정 사건에 대한 역사적 중요성을 어떻게 파악하고 있는지, 역사 교사와 역사가가 특정 사건에 대한 교수학습적 중요성을 다르게 파악하고 있다면 과연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지에 등에 관한 실증적 연구가 축적될 필요가 있다. 역사학에서 중요한 내용을 역사교육에 적절한 형태로 담아내려는 노력이 보다 공론화되는 동시에 다양한 연구가 축적될 필요가 있다. 둘째, 내용의 선정은 교육과정의 영역이기에 내용학문인 역사학에만 의존하기는 어렵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았듯이 이러한 측면에서 역사교육 내용 선정은 교육과정 이론의 영향 또한 받는다. 개설서 상의 역사교육 내용 선정 기준이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우리의 경우 총론과 각론이라는 체계를 갖춘 국가 교육과정을 갖추고 있고, 교육과정 이론가들이 총론을 제시하는 교육과정 개발 환경 속에서, 다른 국가에 비해 역사 교육과정 개발에서 교육과정 이론의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받곤 한다. 역사교육 내용 선정을 둘러싼 이러한 환경 속에서 최근 교육과정 이론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는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검토에서도 드러나듯이 가르쳐야할 내용의 선정은 순수 역사학적인 결정도 순수 교육학적인 결정도 아닌, 역사 교수학습적 결정이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마지막으로, 현재 교육과정 담론에서 지배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핵심”으로의 지향에서 “기초”로서의 핵심과 “중심”으로서의 핵심을 개념적으로 구분하고, 역사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정말로 가르쳐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방향 설정을 통해, 중요한 내용 선정에 대한 논의를 보다 체계적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History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