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부가가치 모형을 적용한 고등교육 성과 평가: 취업률 지표를 중심으로Examining Accountability of Higher Education in South Korea: A Value-added Model

Other Titles
Examining Accountability of Higher Education in South Korea: A Value-added Model
Authors
이필남
Issue Date
2015
Publisher
한국교육행정학회
Keywords
대학교육의 질; 책무성; 대학평가; 취업률; 부가가치; Higher Education Quality; Accountability; Performance Evaluation; Employment Rate; Value-added
Citation
교육행정학연구, v.33, no.2, pp.343 - 368
Journal Title
교육행정학연구
Volume
33
Number
2
Start Page
343
End Page
36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0753
ISSN
1226-8755
Abstract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성과지표로 빈번하게 활용되고 있는 취업률을 중심으로 대학의 학생특성과 대학이 단기간에 통제할 수 없는 주어진 여건 특성 등 투입요소의 차이를 고려한 대학의 순기여도를 측정해 보고, 대학교육의 성과 평가에 있어 부가가치(value-added)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최근 3년간 대학정보공시, 한국장학재단 자료 등 대학수준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학생 특성과 대학의 주어진 여건이라고 할 수 있는 대학 특성 변수를 투입했을 때 대학의 취업률 분산의 약 45% 정도를 설명할 수 있었다. 둘째, 선행연구를 근거로 회귀식에 투입한 변수들은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기대한 바와 대체로 일치하였다. 마지막으로 최종모형에서 추정된 계수를 활용하여 기대 취업률을 산출하고 실제 취업률과의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실제 취업률 순위와 순기여도 순위에 큰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에서는 향후 대학교육의 성과 평가에 부가가치 모형을 적용하기 위하여 첫째, 취업의 질을 나타낼 수 있도록 취업률 지표의 정교화, 둘째, 고교 성적 등 학생특성 변수의 추가, 셋째, 광범위한 학생수준 종단자료의 연계 구축, 그리고 마지막으로 회귀분석을 활용한 부가가치 모형 적용상의 통계방법론 차원의 유의점을 제시하고 연구의 제한점을 밝혔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Yi, Pil Nam photo

Yi, Pil Nam
Education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