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전후 독일에서 구시가지의 재건과 지역 정체성 작업Reconstruction and Local Identity Work of the Old Towns of Cities in Post-War Germany

Other Titles
Reconstruction and Local Identity Work of the Old Towns of Cities in Post-War Germany
Authors
이병철
Issue Date
Mar-2020
Publisher
연세사학연구회
Keywords
Post-war Germany; Reconstruction; City; Old Town; Identity; 전후 독일; 재건; 도시; 구시가지; 정체성
Citation
학림, v.45, pp.277 - 312
Journal Title
학림
Volume
45
Start Page
277
End Page
31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1782
DOI
10.36274/hakrim.2020.45..277
ISSN
0440-2324
Abstract
이 논문은 종전 이후 독일 도시들이 구시가지를 중심으로 전개한 재건작업을 정체성 형성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도시의 재건이 지역에 따라 다른 형태로 전개된 것을 정체성 작업의 차원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제2차 세계대전 동안의 파괴는 구시가지에 집중되었고, 전후 재건은 도시의 외관을 무조건 파괴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의미하지 않았다. 재건의 역사적 뿌리는 19세기의 건축사로 소급되며, 이것을 배경으로 그 논의가 복원, 조정, 신축과 같은 대안들로 귀결되었다. 이 연구는 그 유형에 따라 구분되는 네 도시-프라이부르크(Freiburg), 뮌스터(Münster), 뤼베크(Lübeck), 카셀(Kassel)-를 예로 들어 각각의 재건이 어떻게 정체성 작업으로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전후의 재건을 통해 만들어진 “구시가지라는 산물”(Produkt Altstadt)은 도시의 지방 정치적 합의과정으로서 정체성 형성의 작업을 보여준다는 것이 이 연구의 결론이다. 구시가지가 만들어질 때 도시 공동체는 건축공간이라는 외적 표현 속에서 자신의 내적 정체성을 확인했다. 도시들이 각각의 형세에서 추구한 재건작업은 전쟁의 파괴와 함께 무너진 지방 공동체의 정체성을 건축문화의 전통과 연결시켜 구축하는 과정으로 전개되었다. 종전 후 독일이 건설할 사회는 무너진 제3제국의 복구가 아니었으며, 건축적 차원의 재건도 과거를 청산하고 극복하는 작업이어야 했다. 그 작업의 과정이 시민들의 참여를 통한 합의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전후 구시가지의 모습은 재건의 유형에 관계없이 지방 고유의 정체성을 뿌리내리는 역사적 작업으로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History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Byong Chol photo

Lee, Byong Chol
Education (History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