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팀 창의성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A Systematic Review of Team Creativity Related Research Trends in Korea

Other Titles
A Systematic Review of Team Creativity Related Research Trends in Korea
Authors
황순희
Issue Date
Sep-2020
Publisher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Keywords
team(collective; group; organizational) creativity; research trends; university students; education for promoting team creativity; 팀(집단; 그룹; 조직) 창의성; 연구 동향; 대학생; 팀 창의성 교육
Cita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20, no.17, pp.543 - 569
Journal Title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ume
20
Number
17
Start Page
543
End Page
56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2017
ISSN
1598-2106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팀 창의성 관련 국내 연구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교육 및 유관 분야 연구 설계와 방향 설정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96년부터 2020년 2월까지 발표된 유관 분야의 국내 학술지 논문 전체와 학위 논문을 대상으로, ‘팀 창의성’, ‘집단 창의성’, ‘그룹 창의성’, ‘조직 창의성’ 등의 키워드를 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비롯한 유관 검색 서비스에 투입하여 학술지 연구 논문(116편), 학위 논문(52편), 총 168편을 연구 대상으로 추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미리 설정한 연구 동향 분석 기준(발표 시기, 연구 방법, 연구 분야 및 학술지, 연구 대상, 변인/비변인 연구)에 따라 코딩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 창의성 관련 연구는 1996년 처음 발표되어 현재까지 꾸준히 지속되고 있다. 둘째, 연구 방법별로는 양적연구 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가장 많고, 질적연구, 문헌연구, 혼합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대상별로는 교육 환경에서 팀 창의성 연구(38.1%), 교육 이외 환경 연구(61.9%)로 나타났다. 넷째, 팀 창의성 관련 연구는 다양한 연구 분야와 학술지를 통해 발표되었으며, 교육학 분야(36.2%), 경영학 분야(21.6%), 학제 간 연구(10.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팀 창의성 관련 변인 연구(64.9%), 비변인 연구(35.1%)로 나타났다. 이중 교육 환경에서 연구된 팀 창의성의 주요 변인은 팀 내부 요인, 환경 요인, 개인 특성 요인 순이며, 세부적으로 팀 구성방식, 창의적 환경, 성격 특성이 많이 연구된 변인이다. 아울러 팀 창의성 향상을 위해 학습자 특성, 전공 특성이 고려된 교육 과정 및 평가 척도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 And Art > Design & Visual Art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wang, Soon Hee photo

Hwang, Soon Hee
Design & Visual Arts (Design & Visual Art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