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대학 작문교육에서의 장르 문법 방향 탐색An exploration on genre grammar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Other Titles
An exploration on genre grammar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Authors
김남미
Issue Date
2020
Publisher
한국작문학회
Keywords
Academic writing; task representation; genre based grammar; genre grammar; de-contextual grammar; 학술적글쓰기; 과제표상; 장르 관련 문법; 장르 문법; 탈맥락적 문법
Citation
작문연구, no.44, pp.7 - 36
Journal Title
작문연구
Number
44
Start Page
7
End Page
3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2373
DOI
10.31565/korrow.2020..44.001
ISSN
1738-883X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학술적 글쓰기 장르에 유용한 문법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었다. 이전 과제에서 ‘상’ 수준의 평가를 받은 학습자가 이후 과제에서 ‘하’ 수준의 평가를 받은 경우를 고찰하면서, 두 가지 과제에 관여한 과제 표상, 전공 지식의 유용성, 이들과 문법과의 관계를 살핀 것이다. 여기서 학습자가 작성한 두 과제는 동일 수업에서 제시된 동일 학술적 글쓰기 장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두 과제의 수준 차이에 관여한 요소는 학습자의 과제 표상 인식과 텍스트 반영 결과 간의 관계였다. 이전 글쓰기에서 활용하였던 전공 내에서 유의미한 과제 표상을 이후 글쓰기에서는 제대로 적용하지 못한 것이다. 이전 글쓰기에 반영되었다고 판단되는 전공 내에서 유의미한 과제 표상은 이전 글쓰기에 대한 교수 총평으로부터 추출하였다. 그 내용은 학습자가 대상 과제 생산 과정에서 사고하였던 중요 문제들 간의 위계의 추출과 이로부터 유의미한 주제를 산출하는 과정이었다. 각각의 과제로부터 전이 가능한 과제 표상을 만들 수 있도록 교육하기 위해서는 텍스트 의존적 분석으로부터 이끌어낸 탈맥락적 문법에 대한 인식이 필요함을 밝혔다. 주제의 깊이, 구조의 체계화를 이끌어 내기 위한 핵심어 간의 위계와 이로부터 이끌어 낸 주제문 구성의 과정을 문법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학술적 글쓰기를 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교육할 수 있다는 의미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