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소비자-브랜드-인게이지먼트 구축의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법론으로서의 브랜드 앱의 특성 고찰The Characteristics Inherent in Successful Branded Mobile Apps as A New Communication Method for Consumer Brand Engagement

Other Titles
The Characteristics Inherent in Successful Branded Mobile Apps as A New Communication Method for Consumer Brand Engagement
Authors
정혜욱
Issue Date
2015
Publisher
한국영상학회
Keywords
mobile branded app; social communication space; embodied technology; mixed reality; media affordance; 모바일 브랜드 앱; 소셜 커뮤니케이션 공간; 체화된 기술; 혼합현실; 미디어 어포던스
Citation
한국영상학회논문집, v.13, no.1, pp.35 - 54
Journal Title
한국영상학회논문집
Volume
13
Number
1
Start Page
35
End Page
5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4007
DOI
10.14728/KCP.2015.13.01.035
ISSN
2092-8157
Abstract
소셜 미디어 혁신의 주체로서 스마트 폰은 광고 및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플랫폼으로 자리 잡고 있다. 최근 성공적인 모바일 광고 형태로 부각되고 있는 브랜드 앱(branded mobile app)은 SNSs라는 플랫폼을 이용하는 대신 특정 브랜드나 기업이 직접 배포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소비자의 편익 과 정보 제공은 물론 온라인 및 오프라인 체험을 통해 소비자 스스로 브랜드 유용성과 가치를 느끼도록 하는 데 최적화 된 전략이다. 이러한 성공적인 브랜드 앱의 특성 분석을 통해 새롭게 변화되는 사회에서의 소비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 전략, 사회적 실천의 변화가 지니는 함의 고찰을 목적으로 수행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분석의 결과를 얻었다. 수상작들은 브랜드 표적 집단들의 명확한 니즈 파악과 해결점 제시를 통해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소셜 커뮤니케이션 구현의 공간을 제공하고 있으며, 혁신적 테크놀로지 기반의 체화된 혼합 현실을 제공하되 감성적이며 인간적인 인터랙션을 실현시킨다. 결론적으로 모바일 소셜 미디어 사회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광고 및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은 곧 사회적 행위자들을 둘러싼 총체적인 환경에 대한 고찰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브랜드 앱의 성공은 곧 전혀 새로운 맥락에서 지배적인 가치를 전복시키며 스스로 재생산하는 미디어 어포던스를 지닌 소비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임을 주지해야 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 And Art > School of Design and Media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ung, Hye Uk photo

Chung, Hye Uk
College of Design and Arts (School of Design Convergenc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