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자기 연구(self-study)”를 통한 미술교육 연구에의 적용 및 가능성The Possibility on the Use of “Self-Study” in Art Education

Other Titles
The Possibility on the Use of “Self-Study” in Art Education
Authors
서제희
Issue Date
2015
Publisher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Keywords
self-study; autothnography; auto life history;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performative approach; 자기 연구; 자문화기술지; 자전적 생애사 연구; 참여적 실행연구; 연행적 접근 방법
Citation
미술과 교육, v.16, no.1, pp.89 - 106
Journal Title
미술과 교육
Volume
16
Number
1
Start Page
89
End Page
10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4073
DOI
10.20977/kkosea.2015.16.1.89
ISSN
1229-747X
Abstract
최근 교육 연구에서 교사에 대한 관심은 현장과 이론 사이의 괴리를 좁혀줄 수 있는 하나의 과정으로 이해되고 있다. 교사나 연구자들이 처한 현장을 기초로 한 “자기 연구(self-study)”의 방법을 사용한 연구물들은 방법론적 논의와 함께 그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최근의 국내외 타 학계의 많은 “자기 연구(self-study)”의 경향들이 다양한 연구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연구의 주제와 폭을 넓혀가는 데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관심에 비해 “자기 연구(self-study)”의 방법론적 논의나 수준에 관한 논의는 아직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 연구(self-study)”의 방법을 올바르게 활용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자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논의와 함께 “자기 연구(self-study)” 방법의 몇 가지들 중 미술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연구 방법들을 정리하여 보고자 한다. 미술교육연구에서 “자기 연구(self-study)”를 중심으로 한 “자기 연구(self-study)” 방법의 활용은 교사를 이해하고 현장에 대한 관심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 “자기 연구(self-study)” 방법으로 자문화기술지, 자전적 생애사 연구, 참여적 실행연구, 연행적 접근 방법의 네 가지를 통해 미술교사 연구에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연구 방법을 사용함에 있어 다른 연구기법들과 구분되는 점이 무엇인지 찾아보고, 올바른 자료 수집과 분석에 대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자기 연구(self-study)”를 중심으로 한 연구들이 가장 많이 비판받고 있는 타당성 및 신뢰성 논의를 통해 “자기 연구(self-study)”의 성격을 조망하고자 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