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국내 유휴공간재생관련 연구 비교분석을 통한 지속가능한 재생 방향 연구 -2000년 이후의 연구를 중심으로-A Study on the Sustainable Regeneration Direc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Idle Space Regeneration Research - Focusing on research since 2000 -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ustainable Regeneration Direc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Idle Space Regeneration Research - Focusing on research since 2000 -
Authors
신재령이정교
Issue Date
2021
Publisher
한국공간디자인학회
Keywords
유휴공간재생; 비교분석; 지속가능성; 방향; 국내 연구; Idle Space Regeneration; Comparative Analysis; Sustainability; Direction; Domestic Research
Citation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16, no.3, pp.23 - 34
Journal Title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ume
16
Number
3
Start Page
23
End Page
3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5793
DOI
10.35216/kisd.2021.16.3.23
ISSN
1976-4405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도시들은 급변하는 산업구조로 인해 유휴공간문제에 당면했고, 이를 컬처노믹스의 개념(문화와 산업을 창조적으로 융합)을 적용한 문화적 재생으로 해결하고 있다. 이러한 계획은 시민의 삶의 질 향상뿐만 아니라 지역을 활성화하는 차별화된 부가가치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일부 사례는 방문객의 재방문을 이끌어 내지 못하면서 궁극적으로 지속가능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유휴공간재생관련 국내 논문의 주제, 시기, 분야, 내용 그리고 연구유형별 특성 등을 양적・질적으로 비교분석함으로써 유휴공간재생을 위해 필요한 지속가능한 재생의 방향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유휴공간재생의 개념 및 흐름을 파악하고, 양적・질적 비교분석을 위해 2000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에서 발간된 석・박사 학위논문 및 각종 학술지논문을 검색한다. 이 중 이론적 고찰을 통해 추출된‘유휴(비활성화 의미)’와 ‘재생(전환가치 의미)’ 을 키워드로 하는 169편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여(연구정보공유서비스 RISS및 누리미디어 DBpia, 한국학술정보 KISS 등 검색서비스 활용) 주제어별, 분야별, 시기별 특성들을 추출하는 양적분석을 실시한다. 둘째, 앞의 양적분석에서 특정분야의 특징적 변화를 보이는 2014년 이후의 학위논문 57편을 대상으로 연구유형과 유형별 세부내용 및 특성을 도출하는 질적 분석을 실시한다. 셋째, 이러한 양적・질적 비교분석을 통해 시대변화에 따른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연구유형별 핵심요소를 도출하여 향후 유휴공간재생의 방향을 도출한다. (결과) 첫째, 지난 20년간 유휴공간재생과 관련해 국내에서 발표된 연구는 건축, 디자인 분야가 70%이상을 차지하며 2014년 이후 디자인분야와 건축분야의 연구량이 역전되었고, 빈도가 가장 높은 주제어는 문화와 산업시설이었다. 둘째, 연구의 유형은‘운영 및 프로그램 연구’, ‘공간조성 연구’, ‘평가지표 연구’, ‘비즈니스 연구’의 4가지이며 각각의 세부특성을 도출하였다. 셋째, 문헌연구와 사례자료 분석 등의 개념연구로부터 탈피하여 방문객 및 운영자 현장조사와 통계를 통한 실증적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결론) 현재 유휴공간재생의 화두는 다시 환원되지 않도록 하는 지속가능성의 확보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컬처노믹스 공간으로서 시민의 삶의 질 향상 및 지역 활성화를 이끄는 유휴공간재생에 있어 지속가능성 실현을 위해 연구유형별 세부특성을 종합적으로 적용하여 시대변화에 따라 다양해지는 재생 공간 사용자 가치를 기반으로 하는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밝히고 향후 실증적인 유휴공간재생전략의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Fine Arts > Industrial Design Major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Jung gyo photo

Lee, Jung gyo
Fine Arts (Industrial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