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어판 아동용 간편 5요인 성격질문지(K-BFQC-SF) 타당화 연구Validation of Korean short version of the Big Five Questionnaire for children

Other Titles
Validation of Korean short version of the Big Five Questionnaire for children
Authors
김복환김지현
Issue Date
2012
Publisher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Keywords
5요인 성격특성; 우울; 학업성적; 진로성숙도; Five factor model. Big-Five Questionnaire for Children; Depression; Academic achievement; Career maturity
Citation
초등상담연구, v.11, no.3, pp.371 - 390
Journal Title
초등상담연구
Volume
11
Number
3
Start Page
371
End Page
39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9327
ISSN
2005-3231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의 5요인 성격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Big Five Questionnaire for Children(BFQ-C; Barbaranelli, Caprara. Rabasca, & Pastoreli, 2003)에 기초하여 학교장면에서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는 한국어판 아동용 간편 5요인 성격질문지(K-BFQC-SF)를 구성하고, 이 질문지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영문 BFQ-C 65문항을 번안하여 초등학교 5, 6학년 278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일부 문항의 제거 과정을 거쳐 성격 5요인의 구성 개념을 포괄할 수 있는 15문항의 간편형 5요인 성격 질문지를 구성하였다. 축약된 15문항은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한국어판 아동용 간편 5요인 성격질문지의 준거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 252명을 대상으로 우울, 학업성적, 진로성숙도와의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15문항의 간편형 척도와 준거변인들간의 관계는 기존에 보고된 연구 결과와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자기보고와 성인관찰자인 교사의 평정자료가 서로 일치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한국어판 아동용 간편 5요인 성격질문지는 학교장면에서 학생들의 성격특성을 이해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i Hyeon photo

Kim, Ji Hyeon
Education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