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자기존중감과 학업성취 사이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중학교 2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까지Test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Effects between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Other Titles
Test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Effects between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Authors
최희철김병석김지현김옥진
Issue Date
2010
Publisher
한국상담학회
Keywords
Self-Esteem; Academic Achievement; Adolescents; 자기존중감; 학업성취; 청소년; 중학생; 고등학생; 종단연구
Citation
상담학연구, v.11, no.1, pp.283 - 301
Journal Title
상담학연구
Volume
11
Number
1
Start Page
283
End Page
30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21424
DOI
10.15703/kjc.11.1.201003.283
ISSN
1598-2068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일반적 자기존중감과 학업성취 사이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 연구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중등패널 자료의 1차, 2차, 3차, 4차, 5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자기존중감과 학업성취의 종단적 관계를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이론과 선행연구들의 결과에 기초하여 자기존중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 대한 세 가지 모형을 비교 검증하였다. 즉, ‘자기존중감→학업성취’ 모형, ‘학업성취→자기존중감’ 모형, ‘자기존중감↔학업성취’ 모형 중 어떤 모형이 자료에 더 적합한지를 비교 검증하였다. 그 결과, 중학생에서 고등학생 시기에 이르기까지 학업성취는 이후 시점의 자기존중감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자기존중감은 이후 시점의 학업성취에 관한 교차지연 효과는 유의하지 않거나, 유의하게 예측하더라도 미미하여 ‘학업성취→자기존중감’ 모형이 자료에 더 적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자기존중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예방과 처치에서 청소년의 학업성취 향상에 초점을 두는 것이 중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의 제한점,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i Hyeon photo

Kim, Ji Hyeon
Education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