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과 일본광고에 표현된 색채적용에 관한 차이 분석연구 -신문광고에 표현된 제품광고의 색채비중도에 관한 내용분석-A study on the difference of the color application expressed in Advertisement of Korean and Japan -Focused on Product advertisement in newspaper-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the color application expressed in Advertisement of Korean and Japan -Focused on Product advertisement in newspaper-
Authors
박문수
Issue Date
2008
Publisher
한국일러스아트학회
Keywords
광고; 색채비중도; 한국/일본(韓國/日本); Advertising; Color Application; Korean/Japan
Citation
조형미디어학, v.11, no.3, pp.43 - 52
Journal Title
조형미디어학
Volume
11
Number
3
Start Page
43
End Page
5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23033
ISSN
2671-6194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케이션 의도에 따라 적용되는 광고의 색채 비중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커뮤니케이션효과에 세심한 영향력을 미치는 광고의 색채연구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과 크리에이티비티를 높이기 위한 중요과제이다.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신문광고에서 색채적용요인(①concept중심 ②제품외형중심 ③상징의미중심 ④B. I 중심)을 4가지로 설정, 어디에 더 비중을 두는지 상호 비교분석하였다. 두 나라 광고의 색채적용 비중 도를 측정한 결과, 국내브랜드의 색채적용 비중 도는 심리적 이미지인 상징의미에 치중한 반면, 일본은 본질적 가치인 제품외형이미지에 비중을 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두 나라의 결과는 관여도와 승용차광고에서도 비슷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자동차의 경우, 한국은 품격을 중시 어두운 무채색 색조를 사용하는 반면, 일본은 밝은 파스텔조의 개성을 중시하는 것으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는 광고의 색채적용에 따른 제품이미지와 브랜드정체성(identity), 브랜드 개성(personality)을 만들어가기 위한 광고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선진색채문화와 패러다임(paradigm)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