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항 풀이 과정 분석을 통한 역사 선다형 문항 개선 방향 탐색Analysis of Students’ Response Processes in Proficiency Test of Korean History Items

Other Titles
Analysis of Students’ Response Processes in Proficiency Test of Korean History Items
Authors
이미미홍선이
Issue Date
2019
Keywords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선다형 평가; 문항 풀이 과정; 역사 지식; 역사적 사고; Proficiency Test of Korean History; Multiple-choice Test; Response Processes; Historical Knowledge; Historical Thinking
Citation
교육과정평가연구, v.22, no.3, pp.251 - 278
Journal Title
교육과정평가연구
Volume
22
Number
3
Start Page
251
End Page
27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2328
DOI
10.22799/jce.2019.22.3.010
ISSN
1229-1544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연구 참여자 10명이 한국사능력검정시험 12개 문항을 풀이한 120건의 문항 풀이 과정 사례를 분석하여 연구 참여자가 실제 어떤 지식과 사고력을 활용하여 문항을 풀이하는지, 그리고 연구 참여자가 사용한 지식과 사고력이 출제자가 측정하고자 한 지식 및 사고력과 일치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참여자는 지식 소환(59건, 49%), 수험전략 활용(34건, 28%), 추론(27건, 23%)이라는 세 가지 문항 풀이 과정을 활용하여 문항의 답을 찾고 있었다. 수험전략 활용과 추론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목표 준거에 명시되지 않은 구인이었으나, 문항 풀이에서는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목표 준거에 명시된 역사적 사고력을 활용하여 문항을 풀이한 사례는 찾아볼 수 없었다. 세 가지 문항 풀이 과정 중 지식 소환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는 측면에서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선다형 문항이 연구 참여자의 지식을 측정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으나, 연구 참여자가 실제로 문항 풀이에 활용한 지식의 종류와 수준을 분석한 결과 문항의 타당도를 높일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항별·연구 참여자별 분석 결과도 타당도를 높일 필요성을 뒷받침했다.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항 개선을 위한 3가지 방향을 제언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History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