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대표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들의 포용적 경험 평가 항목에 관한 연구 - 트위터, 인스타그램, 틱톡, 제페토 -A Study on Evaluation Factors of Inclusive Experience of Major Online Social Networking Sites - Twitter, Instagram, TikTok, Zepeto -

Other Titles
A Study on Evaluation Factors of Inclusive Experience of Major Online Social Networking Sites - Twitter, Instagram, TikTok, Zepeto -
Authors
김빛누리구유리
Issue Date
2022
Publisher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Keywords
Diversity and Inclusion; Evaluation factor; Evaluation Criteria; Inclusive Design; Inclusive Service; Online Social Networking Sites; Service experience; SNS
Citation
디자인융복합연구(구.인포디자인이슈), v.21, no.2, pp.89 - 110
Journal Title
디자인융복합연구(구.인포디자인이슈)
Volume
21
Number
2
Start Page
89
End Page
11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27927
ISSN
2287-4089
Abstract
다양성과 포용이 사회·문화·정치적으로 더욱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현재, 본 연구는 전 세계 다양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더욱 포용적인 서비스 경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포용성을 평가하 여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평가 결과를 통한 시사점을 발굴하는 것을 목표 로한다.먼저다양한학계에서정의하는포용성개념을고찰한후기존포 용성 평가지표와 문헌을 통해 포용적 경험 평가항목과 요소를 개발한다. 실 제 SNS에 평가요소를 적용하고 분석의 축을 설정하기 위해 대표 SNS를 선 정하는 기준을 마련한다. 이를 위해 포용성을 갖춘 SNS를 주 사용 미디어 발전 단계에 따라 4단계로 구분한다. 선정된 4개(트위터, 인스타그램, 틱톡, 제페토) 서비스에 평가요소를 적용해 포용성을 평가한다. 평가 결과, 서비스 들은 최근 개발된 순으로 인지적 ̇경험적 포용성이 부족하였으며, 주 사용 연령층과 미디어 특성에 따라 강조하는 포용성의 측면이 달랐다. 이러한 결 과를 통해 간과되거나 중요시되는 포용성 요소를 SNS의 특성과 연결지어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서비스의 개선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추 가로, 실제 서비스에 존재하는 포용적 기능을 통해 포용해야 할 인구통계학 적특징과포용요소를추가로발견할수있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s > 서비스디자인전공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oo, Yoo Ri photo

Koo, Yoo Ri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s (Major in Service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