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대안형 아트페어의 특성 연구A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Alternative Art Fairs

Other Titles
A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Alternative Art Fairs
Authors
김경현김선영
Issue Date
2022
Publisher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eywords
아트페어; 대안형 아트페어; 작가주도형 아트페어; 작가미술장터; 미술시장; Art Fair; Alternative Art Aair; Artist-led Art Fair; Artist Art Market; Art Market
Citation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no.70, pp.101 - 114
Journal Title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Number
70
Start Page
101
End Page
11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30448
ISSN
2765-1568
Abstract
최근 많은 대안형 아트페어들이 속속 생겨나고 있지만 대부분 운영 구조의 한계, 재원의 부족, 유사 아트페어와의 경쟁 등으로 인해 오래 버티지 못하고 사라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안형 아트페어의 특징을 분석하고, 운영 과정에서 지적되는 문제점을 짚어봄으로써 대안형 아트페어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다중사례 분석 및 심층 면접을채택하였다. 국내 사례로는 ‘을지아트페어’를, 해외 아트페어로는 ‘인디펜던트 아트페어’, ‘스프링 브레이크 아트쇼’를 각각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대안형 아트페어의 특성은 첫째, 신생공간과 신진작가들의 정보 교환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둘째, 신진작가와 신생공간에 기회를 제공하고 작가와 매체에 스펙트럼을 넓혀 작품의 다양성을 형성한다. 셋째, 기관과의협업과 갤러리들 간의 소통을 통해 행사 운영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데 집중하지만, 작품 가치에 관한 신뢰성 면에서는평가하기 부족한 면이 있다. 넷째, SNS 홍보와 현장이벤트, 부대행사를 활용하여 관객의 참여를 높여 개방성을 높이고 있다. 다섯째, 비슷한 상황과 관심사가 비슷한 신생공간과 신진작가들이 모이기에 자연스럽게 네트워크가 형성된다. 한편 대안형 아트페어의 문제점으로는 SNS에 치중된 홍보, 예산 부족, 운영 미숙, 단조로운 수익구조 등이 도출되었다. 발전 방안으로는 다양한 홍보 채널을 확대, 안정적 재정을 위해 수익개선을 위한 방안 마련, 충분한 인력 확보와 철저한 사전 준비등을 제시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 Art & Culture Management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Sun Young photo

Kim, Sun Young
Graduate School (Department of Art & Culture Management)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