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교환학생을 위한 한국어 수업 설계 방안 - 한국어 수준 편차가 있는 초급 수업 운용 방법을 중심으로 -A Korean Class Design Plan for Exchange Students: With an Emphasis in Running a Beginner Level Class Composed of Learners with Varying Korean Fluencies

Other Titles
A Korean Class Design Plan for Exchange Students: With an Emphasis in Running a Beginner Level Class Composed of Learners with Varying Korean Fluencies
Authors
조영미이혜경홍윤혜
Issue Date
2022
Publisher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Keywords
교환학생; 수준 편차가 있는 한국어 수업; 플립드 러닝; 학습 일지 작성; 프로젝트 기반 학습; exchange students; the Korean class of large gaps in Korean fluency between learners; flipped learning; journal writing; project based learning
Citation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67, pp.131 - 156
Journal Title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ume
67
Start Page
131
End Page
15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30613
DOI
10.21716/TKFL.67.5
ISSN
1598-8201
Abstract
본고는 수준 편차가 심한 학습자들로 구성된 초급 교환학생을 대상으로 <기초한국어> 교과목의 수업 설계를 목적으로 한다. 학습 배경과 수준의 차이가 있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수업 방식은 절충식 교수 방법으로 이루어졌으며 주요 학습 방식은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학습 일지 작성(Journal Writing),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 Based Learning)이었다. 학습자의 학습 배경과 수준의 차이가 크고,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초급 교환학생 수업의 특성을 고려해 한정된 수업 시간을 넘어 온라인 공간과 교실 밖 환경을 활용하여 수업 활동을 확장하고 개별화 지도 (differentiated instruction)와 협력 학습(collaborative learning)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의 생활 한국어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충족시키면서도 수준 차이가 있는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 효과를 확보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 수업 경험과 선행 연구를 토대로 문제의식을 갖고, 이를 보완하는 교수요목을 설계해 수업에 적용, 그 성과와 문제점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현장 연구로서의 가치와 의의를 지닌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Department of General Studies > Department of General Studi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ong, Yun Hye photo

Hong, Yun Hye
Department of General Studies (Department of General Studie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