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APAP) 인식 변화 연구A Study on Perception Change of Anyang Public Art Project(APAP) Using Language Network Analysis

Other Titles
A Study on Perception Change of Anyang Public Art Project(APAP) Using Language Network Analysis
Authors
김한별김선영
Issue Date
Mar-2023
Publisher
한국지역문화학회
Keywords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 APAP; 새 장르 공공예술; 공공예술; 토픽분석; 공공 예술 담론; Anyang Public Art Project; APAP; New Genre Public Art; Public Art; Topic Modeling Analysis; Linguistic Network Analysis
Citation
지역과문화, v.10, no.1, pp.19 - 43
Journal Title
지역과문화
Volume
10
Number
1
Start Page
19
End Page
4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31073
DOI
10.26654/iagc.2023.10.1.019
ISSN
2508-6464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공공예술을 대표하는 행사 중 하나인‘안양공공예술프로 젝트(APAP)’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APAP의 방향성을 모색해 보는 한편, 공공예술의 담론 변화 양상에 따른 향후의 패러다임을 모색하는 데 있 다. 이를 위해 APAP를 준비기, 도입기, 적용기 등 세 시기로 구분하고, 국내 주요 포털 사이트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TEXTOM-v.6.0을 활용해 네트워크 및 담론분석, LDA 토픽모델링 분석, 감성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APAP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새 장르 공공예술’ 개념의 도입에 따라 참여와 소통에 기반한 공동체적 담 론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APAP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시기가 지남에 따라 소폭 상 승하였는데 이는 APAP가 거버넌스 활동 강화로 지역과 관람객에게 다가갔기 때문 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적용기)에 들어 국제적인 이슈나 혁신적인 감 성 인식이 줄어든 것으로 보아, APAP의 네트워킹 강화와 국제예술행사에 걸맞는 새로운 담론 제시 기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 Art & Culture Management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Sun Young photo

Kim, Sun Young
Graduate School (Department of Art & Culture Management)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