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갤러리카페의 ‘ 제3의 공간’ 적 특성에 관한 탐색적 고찰An Exploratory Study on the ‘Third Place’ Characteristics of Gallery Cafe

Other Title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Third Place’ Characteristics of Gallery Cafe
Authors
백지연김선영
Issue Date
Jun-2024
Publisher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eywords
갤러리카페; 제3의 공간; 이용 경험; 지속가능성; 레이 올덴버그; Gallery Cafe; The Third Place; Utilization Experience; Sustainability; Ray Oldenburg
Citation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no.77, pp 37 - 51
Pages
15
Journal Title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Number
77
Start Page
37
End Page
5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33282
ISSN
2765-1568
Abstract
최근 미술의 플랫폼이 다양화 되고 있는 가운데 그중 하나인 갤러리카페가 카페와 갤러리라는 본연의 기능을 유지하면서보다 많은 사람들이 찾는 예술 플랫폼으로서 자리 잡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갤러리카페를대상으로 제3의 공간으로서의 특성 및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심층 인터뷰를 채택하고 갤러리카페 이용 고객 및 작가를 대상으로 인터뷰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갤러리카페는 일반 갤러리보다 높은 접근성을 통해 미술 저변 확대에 일정 부분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중적 인지도는 일반 카페보다 낮은 경향이 있었다. 유희성 측면에서 갤러리카페는 전시 공간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체험을 통해 여타 제3의 공간과 차별점을 보였다. 상호작용성 측면에서 체험 프로그램이나 작가와의 대화 등 미술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일반 카페보다 다양한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갤러리카페만의 문화적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타 제3의공간과 차별화되는 갤러리카페의 예술성에 대한 인식은 연구 참여자 별로 엇갈렸으나, 지역성은 부족한 것으로 지적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갤러리카페가 제3의 공간으로서 기능을 확대하여 미술 플랫폼의 역할을담당하기 위해서는 첫째, 전시 공간이 주는 심리적 장벽을 더욱 낮추어야 하며 갤러리카페 고유의 유희성과 다양성을 보완해야 한다. 둘째, 갤러리카페 운영자의 경우, 미술 매개자로서의 전문성 배양을 통해 예술성을 확보해야 하며 지역성을 갖추기 위한 지역사회 차원의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 갤러리카페가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일반 이용객의 니즈를 파악하려는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대중성을 확보하고 지역에 착근하려는 시도가 필요하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 Art & Culture Management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Sun Young photo

Kim, Sun Young
Graduate School (Department of Art & Culture Management)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