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30대 남녀의 성공욕구와 성형의도의 관계에서 대상화된 신체의식의 매개효과 차이Difference in mediation effect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in the relationship of success desire and plastic surgery between women and men in 30s

Other Titles
Difference in mediation effect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in the relationship of success desire and plastic surgery between women and men in 30s
Authors
김지현박은아
Issue Date
2017
Keywords
성공욕구; 대상화된 신체의식; 성형의도; success desir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plastic surgery intention
Citation
여성연구, v.92, no.1, pp.113 - 135
Journal Title
여성연구
Volume
92
Number
1
Start Page
113
End Page
13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6715
DOI
10.33949/tws.2017.92.1.005
ISSN
1225-7214
Abstract
외모 가꾸기는 개인의 자존감과 행복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무분별한 외모집착에 의한 과도한 성형은 오히려 심리적, 신체적 건강을 해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성공욕구와 대상화된 신체의식이 성형의도와 어떤 관계를보이는지 탐색하였다. 특히 여성 뿐 아니라 남성에 대해서도 대상화 이론을 바탕으로 성공욕구 및 대상화된 신체의식과 성형의도와의 관계를 설명하려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 30대 남녀 246명의 성공욕구, 대상화된 신체의식 그리고 성형의도와 관련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 18.0을 사용하여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성공욕구와 성형의도의 관계에서대상화된 신체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성공욕구와 성형의도의 관계에서 대상화된 신체의식의 매개효과가 성별에 따라 다름을 보여주었다. 30대 남성의 경우, 성공욕구의 성형의도에 대한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대상화된 신체의식을 통한 간접효과만 유의하였다. 그러나 30대 여성의 경우, 성공욕구가 성형의도에 유의한 직접효과만을 보였다. 과도한 성형의도를 경험하는 개인은 성에 관계없이 사회와 문화에 의해 강요된 외모에 대한 기대감과성공욕구에 대하여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인식은 무분별한 성형의도로 인한문제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i Hyeon photo

Kim, Ji Hyeon
Education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