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에드워드 렐프의 장소 정체성에 관한 문화 경관론적 고찰 연구 -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 환경의 사회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A Study on Cultural Landscape Theory based on Place Identity of Edward Relph - Focused on Sociocultural Activities in Social Media Network -

Other Titles
A Study on Cultural Landscape Theory based on Place Identity of Edward Relph - Focused on Sociocultural Activities in Social Media Network -
Authors
박미성최익서
Issue Date
2016
Publisher
한국공간디자인학회
Keywords
장소 정체성; 장소 상실; 에드워드 렐프;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 사회문화 활동; Place Identity; Placelessness; Edward Relph; Social Media Network; Sociocultural activity
Citation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11, no.6, pp.85 - 96
Journal Title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ume
11
Number
6
Start Page
85
End Page
9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8257
DOI
10.35216/kisd.2016.11.6.85
ISSN
1976-4405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세계적인 자본주의의 확산과, 매스미디어의 발달, 교통수단의 발달은 장소에 기반한 공동체의 중요성을 감소시키고, 획일적인 경관을 생산하였으며, 인간의 욕구와 취향을 표준화 시켰다. 이 시대의 흐름은 공간이 장소의 의미를 갖는데 중요한 인간의 다차원적인 경험을 약화시켜 장소를 단지 의식없는 활동의 배경으로 전락시켰다. 이러한 장소의 무장소성은 인간의 심층적인 감정이나 욕구를 축소시켜 무력감, 고립감, 무의미함 등의 인간과 사회가 분리되는 감각을 유발하고, 이는 인간적인 삶에 대한 파괴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장소 정체성을 유지, 회복, 생성에 관하여 탐구하고 해결책을 찾아나가는 것은 현대사회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연구의 목적은 무장소성의 사회적 영향을 탐구하고 무장소성 확산의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으며, 그 해결점으로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사회활동의 현상들에 주목한다. (연구방법)본 연구에서는 장소 상실이 일어나는 원인과 과정을 파악하고 장소 정체성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 에드워드 렐프의 이론을 고찰하고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사회문화 활동의 특징들과 실천 방식들에 대하여 문헌과 인터넷 자료들을 이용하여 알아본다. 이러한 사회문화 활동이 장소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에드워드 렐프의 장소 정체성의 요소들을 중심으로 진정성과 비진정성의 특징들을 분류하여 비교 분석틀을 제시한다. 이 분석틀에 사회 문화 활동 사례들을 대입하여 장소의 장소 정체성 변화에 대하여 살펴본다. (결과)렐프의 무장소성에 대한 고찰에서 장소의 정체성이 장소에 대한 진정한 태도와 비진정한 태도에서 이루어지는 장소경험에서 생겨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비위계적이고 탈 중심적인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 환경에서 생겨나는 사회문화 활동들이 관심과 흥미를 위주로 한 자발성과 자유, 놀이적 성격을 갖는다는 것을 파악하고, 이러한 특성이 진정성의 개념과 일맥상통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렐프의 이론을 바탕으로 설계한 분석 매트릭스를 통해 이러한 활동들이 장소 정체성을 회복하는 하나의 해결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결론)본 논문연구를 통해 장소상실이 인간성 상실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인식하고,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인간 활동을 통한 인간다운 삶을 위한 노력들이 결국은 장소의 정체성 강화와 확대에 기여하는 것임을 알게 되었다. 이는 도시 재생을 위한 장소 정체성 강화 계획들이 그 곳에 뿌리를 둔 시민들을 중심으로 자유롭고 자발적인 장소경험의 다양성을 지원하거나 보장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Fine Arts > Industrial Design Major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i, Ik seo photo

Choi, Ik seo
Fine Arts (Industrial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