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문제만들기와 대조설명이 텍스트 이해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Student-Generated Problems and Contrasting Explanation on Text Comprehension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tudent-Generated Problems and Contrasting Explanation on Text Comprehension
Authors
주보경김종백
Issue Date
2016
Publisher
한국교육심리학회
Keywords
문제만들기; 대조설명; 텍스트 이해; 기억과 이해; 교수-학습; problem generation; contrasting explanation; text comprehension; memory and comprehension; teaching-learning
Citation
교육심리연구, v.30, no.2, pp.277 - 294
Journal Title
교육심리연구
Volume
30
Number
2
Start Page
277
End Page
29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8562
DOI
10.17286/KJEP.2016.30.2.01
ISSN
1225-4290
Abstract
본 연구는 문제만들기 전략과 대조설명 텍스트가 텍스트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참여한 대학생 127명은 통제집단, 문제만들기 집단, 대조설명 집단, 대조설명과 문제만들기 집단에 각각 무선배치 하였다. 학습 활동 중에 학습자가 개별적으로 텍스트 정보의 의미처리를 위하여 학습내용을 조직․분류하거나 개념도, 그림, 표 등으로 내용을 재구조화하는 등의 내용이해전략을 사용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였고 이를 양화하였다. 문제만들기와 대조설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검사와 내용이해전략을 공변인으로 하여 이원공변량분석(two-way ANCOV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내용이해전략을 통제한 후 문제만들기의 F 값은 5.58로 문제만들기 활동이 텍스트 이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또 다른 독립변인인 대조설명의 F 값은 .02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대조설명의 효과가 없기 때문이기 보다는 대조설명으로 활용한 텍스트가 학습자에게 익숙한 내용이 아니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안고 있는 제한점이라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의 인지적 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여러 전략들 중에서 학습내용에 대해 질문을 생성하거나 동료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들을 만들어 보는 것과 같은 활동은 교수 및 학습에 있어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