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洛陽 龍門石窟 중 고대 한국 관련 佛龕 고증에 관한 문제점A Problem on the Historical Research on a Niche for a Statue of Buddha of Korea located at Longmen Stone Caves(龍門石窟) in Luoyang(洛陽)

Other Titles
A Problem on the Historical Research on a Niche for a Statue of Buddha of Korea located at Longmen Stone Caves(龍門石窟) in Luoyang(洛陽)
Authors
박현규
Issue Date
2013
Publisher
신라문화연구소
Keywords
龍門石窟(Longmen Stone Caves); 龍門石窟(Luoyang); 佛龕(Shrines); 慈藏(Jajang; Cizang); 王思禮(Wang Sarye; Wang Sil); 新羅(Silla); 高句麗(Goguryeo); 夫餘(Buyeo); 龍門石窟; 龍門石窟; 佛龕; 慈藏; 王思禮; 新羅; 高句麗; 夫餘
Citation
신라문화, v.42, pp 507 - 524
Pages
18
Journal Title
신라문화
Volume
42
Start Page
507
End Page
52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14244
ISSN
1229-0939
2714-0628
Abstract
본 논문은 중국 대륙에 분포된 한국 관련 문물을 조사할 때 발생되는 문제점을 짚어본 것이다. 龍門石窟은 洛陽 龍門口의 伊河 양편 암벽에 새겨진 석굴군이다. 북위 시대부터 명나라 때까지 조성되었으며, 특히 북위와 당나라 때 가장 많이 조성되었다. 용문석굴과 그 주변 지역은 신라화상이 조성한 석굴, 부여씨 출신이 조성한 불상 외에 입적한 신라 원측대사를 다비한 장소로 알려져 고대 한국과 인연이 깊다. 최근 梁銀景는 용문석굴에 소재한 雙窯南洞 慈藏發願龕, 雙窯北洞 金莫神銘文龕, 北市絲行像龕 王思禮銘文龕, 藥方洞 王思禮銘文龕 등이 고대 한국인 또는 한국유민들이 조성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들 불감을 조사해보면, 한국인이 조성한 것이 아니거나 확실한 증거를 갖추지 않아 한마디로 논란거리이다. 雙窯南洞의 慈藏은 신라 慈藏律師의 생애 기록과 어긋난다. 雙窯北洞의 金莫神은 여러 민족들이 김이라는 성씨를 사용하기 때문에 반드시 신라인 출신이라고 단정하기 힘들다. 北市絲行像龕의 王思禮는 고구려 출신 왕사례와 동일한 인물이라는 명확한 증거가 없다. 낙양 北市 상인들이 조성한 불감이기 때문에 고구려 출신 장수 왕사례의 행적과 맞지 않다. 藥方洞의 왕사례는 동굴의 조성 시기가 고구려 왕사례의 중원 활동 시기와 맞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Hyun Kyu photo

Park, Hyun Kyu
SCH Media Labs (Deparment of Chinese Studie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