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긍정적 행동지원(PBS)에 관한 국내외 실험연구 고찰A Review of Experimental Researches at Home and Abroad regarding Positive Behavior Support

Other Titles
A Review of Experimental Researches at Home and Abroad regarding Positive Behavior Support
Authors
김성숙김진호
Issue Date
2012
Publisher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Keywords
positive behavior support; behavior management; problem behavior; literature analysis; positive behavior support; behavior management; problem behavior; literature analysis; 긍정적 행동지원; 행동중재; 문제행동; 문헌분석
Citation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v.14, no.3, pp 133 - 156
Pages
24
Journal Title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Volume
14
Number
3
Start Page
133
End Page
15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15639
ISSN
2733-9211
Abstract
긍정적 행동지원(Positive Behavior Support: PBS)은 학교현장에서 장애학생 뿐만 아니라 일반학생들의 행동중재를 위해서도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긍정적 행동지원프로그램을 적용한 국내외 실험연구를 조사하여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통하여 긍정적 행동지원의 동향과 실제를 파악하고 학교현장에서 긍정적 행동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를 실시한 총 44편의 논문(국내논문 30편, 국외논문 14편)을 선정하고, 12개의 변인으로 선행연구를 분석한 후에 그 결과를 다섯 가지 분석영역으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선정된 44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 국내의 경우에는 개별차원의 단일대상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국외의 경우에는 학교 및 학급에서 실행되는 보편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연구가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중재 기법은 다양한 교수 기법을 복합적으로 적용하는 중다요소 전략과 직접교수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긍정적 행동지원의 세 가지 차원(보편적, 그룹, 개별 차원)을 모두 적용하여 행동지원의 강도와 범위에 따라서 단계적으로 세 가지 차원의 지원 중재를 적용한 연구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긍정적 행동지원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개발하고 실행하기 위한 관점에서 논의되었으며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점도 제시되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in ho photo

Kim, Jin ho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