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소목으로부터 분리된 Brazilin이 Streptococcus mutans ATCC 25175의 생장에 미치는 효과Effect of Brazilin from Caesalpinia sappan L. on the Growth of Streptococcus mutans ATCC 25175

Other Titles
Effect of Brazilin from Caesalpinia sappan L. on the Growth of Streptococcus mutans ATCC 25175
Authors
권현정한만덕
Issue Date
2012
Publisher
한국치위생과학회
Keywords
Bacterial growth; Caesalpinia sappan L.; Culture environment; Streptococcus mutans
Citation
치위생과학회지, v.12, no.3, pp 209 - 215
Pages
7
Journal Title
치위생과학회지
Volume
12
Number
3
Start Page
209
End Page
21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15765
ISSN
1598-4478
2233-7679
Abstract
본 연구는 소목(C. sappan L.)으로부터 분리된 Brazilin 이 S. mutans의 생장 및 배양 환경 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Methanol에 의해 분리된 소목의 수율은 총 4.8%로나타났으며, 여러 분획물 가운데 brazilin이 포함된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물에서 3.94%로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다. 2. 소목으로부터 분리된 brazilin의 S. mutans 생장에 대한 효과는 대조군이 24시간에서 0.816으로 최대 생장률을 보였으나, brazilin (0.3 mg/ml, 1 mg/ml, 3 mg/ml)을투여한 배지는 32시간 만에 최대생장을 보였다. 3. S. mutans를 16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 내 pH를측정한 결과 대조군은 5.25이었으며, brazilin (0.3 mg/ml,1mg/ml, 3 mg/ml)을 투여한 배지는 각각 pH 7.00, pH 7.01,pH 6.98로 유지하여 산 생성을 억제하였다. 4. S. mutans를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 내 탄수화물 변화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보다 소목의 brazilin이투여된 배지의 탄수화물의 소모량이 적었다. 5. S. mutans를 24 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 내 단백질변화량을 측정한 결과, 최대 생장량을 보인 24 시간에서대조군은 2.46 mg/ml 이었으며, 소목의 brazilin이 투여된배지는 2.54 mg/ml 이었다. 6. S. mutans의 다당류 생성에 미치는 효과는 대조군의경우 배양 8 시간에 300 mg/100 ml을 생성하였으나, 소목의 brazilin이 투여된 배지에서는 200 mg/100 ml을 생성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소목의 EtOAc 분획에 존재하는brazilin은 배지 내 S. mutans 균주의 생육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향후 구강 내 우식원성 세균의 억제물질로 활용을 제시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 Department of Life Science and Biotechn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