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의 출산 산모 연령분포 변화와 고령산모에서 저체중출생아의 빈도Changes of Maternal Age Distribution in Live Births and Incidence of Low Birth Weight Infants in Advanced Maternal Age Group in Korea

Other Titles
Changes of Maternal Age Distribution in Live Births and Incidence of Low Birth Weight Infants in Advanced Maternal Age Group in Korea
Authors
문주영배종우한원호심계식장지영
Issue Date
2011
Publisher
대한주산의학회
Keywords
Maternal ages; Obstetric delivery; Birth history; Low birth weight infant; Birth weight; Epidemiology; 저체중출생아; 고령산모; 산모연령; 산과 분만; 출생력; 역학
Citation
Perinatology, v.22, no.1, pp 30 - 36
Pages
7
Journal Title
Perinatology
Volume
22
Number
1
Start Page
30
End Page
3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17254
ISSN
2508-4887
2508-4895
Abstract
목 적 : 최근 한국에서 산모 연령 변화와 고령산모가 증가하는 경향을 파악하고 그 비율을 살펴보고, 고령산모의 증가가 저체중출생의 원인이 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5, 2000, 2005, 2008년 한국통계포털(통계청)에서 공개한 한국의 출생통계 자료를 이용하였다. 조사대상은 각 연도별 한국의 총 출생아 수이며, 출생 시 그들 산모의 나이 분포는 15세 미만부터 50세 이상까지 가임기 여성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고, 각 연도별 출생아 수는 각각 71만5천, 63만4천, 43만5천, 46만5천명이었다. 출생아의 분포를 출생 체중을 기준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연도별 산모 연령 분포와 35세 이상의 고령 산모의 비율을 조사하고, 고령 산모에서 저체중출생아의 출생 빈도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조사기간 동안 출생아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저출생체중아의 빈도는 증가하였다. 산모의 연령 분포는 1995, 2000, 2005, 2008년 연도별로, 25-29세가 각각 54.2%, 51.7%, 40.2%, 36.3%, 30-34세가 각각 20.8%, 28.8%, 40.8%, 42.7%, 35-39세가 각각 4,2%, 5.8%, 9.3%, 12.8%, 40-44세가 각각 0.5%, 0.8%, 1.2%, 1.4%로 산모의 연령이 증가하였다. 이중 고령산모의 빈도는 1995, 2000, 2005, 2008년 연도별로 4.7%, 6.6%, 10.6%, 14.3%로 1995년에 비해 2008년도는 3배 정도 증가하였다. 연간 전체 출생 시 산모의 연령에 따른 신생아의 출생체중 분포에서 산모의 연령이 35세 이상에서 미만에 비해 저체중출생아의 빈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최근에 올 수록 이러한 경향이 더욱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전체 저체중출생아 중 고령산모의 빈도는 1995, 2000, 2005, 2008년 각각 7.8%, 10.3%, 15.2%, 19.0% 로 증가 추세이었고, 이는 전체 출생에서의 고령산모의 빈도 보다 높은 수준이었다결 론 : 한국에서 최근 15년 동안 출생아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저출생체중아의 빈도는 증가하여 신생아집중치료의 필요성은 증대되고 있다. 저체중출생아의 원인의 하나가 고령산모인데, 본 연구에서 한국에서 최근 15년간 산모의 연령분포에서 고령화가 지속되어 고령산모의 빈도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고령산모에 의한 저체중출생아의 빈도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고령산모의 관리 및 고령산모에 기인한 저출생체중아의 관리가 중요한 범위로 대두되고 있음으로 향후 한국의 주산기 관리에서 고령산모 및 이에 기인하는 저출생체중아에 대한 예방 및 적절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Medicine > Department of Pediatric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