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전통놀이 중재가 장애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일반학생 및 통합학급 교사의 태도에 미치는 사례연구The Effects of Traditional Play Activities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on the Attitudes of Peers and a General Teacher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raditional Play Activities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on the Attitudes of Peers and a General Teacher
Authors
이성용김진호차재경
Issue Date
2010
Publisher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Keywords
traditional play activities; social interaction; case study; students with disabilities; traditional play activities; social interaction; case study; students with disabilities; 놀이중재; 전통놀이; 사회적 상호작용; 사회적 통합; 사례연구
Citation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v.11, no.3, pp 185 - 208
Pages
24
Journal Title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Volume
11
Number
3
Start Page
185
End Page
20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18272
ISSN
1598-060X
2734-0090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 전통놀이 중재를 적용하여 장애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고, 일반학생과 통합학급 교사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장애학생 2명, 일반학생 9명, 통합학급 교사 1명으로 구성되었다. 전통놀이 중재는 통합학급의 쉬는 시간을 활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전통놀이는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한 놀이로 구성하였다. 연구 설계 및 측정으로서는 두 명의 장애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하였고, 일반학생의 태도변화는 사전ㆍ사후비교를 실시하였으며, 교사의 태도변화는 심층면담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서 장애학생들의 긍정적 상호작용 행동은 증가하였으며 부정적 상호작용 행동은 감소하였다. 일반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인 변화가 있는 것으로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통합학급 교사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인 변화가 있다는 것을 면담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통합교육 관점에서 논의되었으며, 장애학생의 사회적 통합을 증진시키는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in ho photo

Kim, Jin ho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