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차세대 대학수준 과학영재교육 모형개발The Development of the Model of Science Gifted Education in University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of the Model of Science Gifted Education in University
Authors
이신동김명숙성은현
Issue Date
2010
Publisher
한국영재교육학회
Keywords
대학 과학 영재교육; 학부수준 연구(URP); AP; 융합교육; science gifted education in university; URP(Undergraduate Research Program); AP(Advanced Placement); consilience education; science gifted education in university; URP(Undergraduate Research Program); AP(Advanced Placement); consilience education
Citation
영재와 영재교육, v.9, no.2, pp 65 - 78
Pages
14
Journal Title
영재와 영재교육
Volume
9
Number
2
Start Page
65
End Page
7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18296
DOI
10.17839/jksgt.2010.9.2.65
ISSN
1975-4949
2714-1195
Abstract
과학 분야에서는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영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비교적체계적으로 제공되고 있으나 대학 입학 이후 이공계 영재들을 위한 차별화된 교육과정이 실시되는 대학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서 대학수준 과학영재교육의 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과학영재의 특성과 교육모델 계획시 고려점, 미국의 과학영재교육제도 등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이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창의적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한 영재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동기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학부수준의 연구(URP)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영재대학생들이 학생의 능력에 따라 필수 과목수강을 면제받을 수 있게 하는 형식의 AP제도를 도입하여 자신의 능력에 맞는 교육을 받도록 한다. 셋째, 학문간의 벽을 철폐하고 타영역에 대한 관심을 증진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융합교육과정과 교과목의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과학영재학생들의 그들의 진로를 설계하고 학교적응과 수강신청을 도울 수 있는 상담자 또는 조언자가 배치되어야한다. 대학에서의 영재들을 관리하기 위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현실에서 본 연구는 대학 영재교육연구를 위한 시발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