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학업저성취 대학생 관련 연구 동향 분석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Underachieving College Students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Other Titles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Underachieving College Students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Authors
이예다나고혜정
Issue Date
Mar-2023
Publisher
교육발전연구소
Keywords
키워드 네트워크; 학업저성취; 대학생; keyword network analysis; underachieving; college students
Citation
교육혁신연구, v.33, no.1, pp 343 - 361
Pages
19
Journal Title
교육혁신연구
Volume
33
Number
1
Start Page
343
End Page
36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22279
DOI
10.21024/pnuedi.33.1.202303.343
ISSN
2092-5638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업저성취를 보이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 동향을 탐색함으로서 대학생들의 중도탈락을 예방하고 학업 지원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22년까지 수행된 논문 총 70편에서 도출된 338개의 키워드를 토대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Textom과 UCINET를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일반적인 연구동향 및 주요 키워드의 빈도분석, 키워드 간의 중심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2012년부터 2022년까지 평균적으로 매해 7편의 논문이 꾸준히 발표되고 있었다. 특히 2018년 이후에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학업저성취 대학생과 관련하여 학사경고, 효과성분석, 질적연구 등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TF-IDF 가중치 분석 결과 또한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나아가, N-gram 분석에서도 '학사경고'와 ‘대학생’이 동시에 출현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결정도 중심성 분석에서도 학사경고, 효과성, 질적연구가 높은 연결 정도 중심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의 교육자들이 학업저성취 대학생을 위한 지원계획을 수립할 때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