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학교 밖 청소년이 경험하는 사회적 낙인감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life satisfac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Focusing on the dual mediation effects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life satisfac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Focusing on the dual mediation effects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Authors
최홍일이래혁
Issue Date
2020
Publisher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Keywords
학교 밖 청소년; 사회적 낙인감; 생활 만족도; 우울감; 자아존중감; 학업중단청소년패널; Out-of-school adolescents; Social stigma; Depression;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Citation
학교사회복지, no.52, pp.1 - 27
Journal Title
학교사회복지
Number
52
Start Page
1
End Page
2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3291
ISSN
1975-1567
Abstract
학교 밖 청소년을 지원하여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사회복지 분야의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생활 만족도에 사회적 낙인감이 미치는 영향력과 우울감 및 자아존중감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구축한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 자료와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이 인식하는 사회적 낙인감은 생활 만족도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감 및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낙인감과 생활 만족도의 관계를 매개했다. 즉, 사회적 낙인감은 우울감을 높이거나 자아존중감을 낮추어 생활 만족도를 감소시키고 있었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낙인감과 생활 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이중매개하고 있었다. 즉, 사회적 낙인감은 우울감을 높이고 이어서 자아존중감을 낮추어 최종적으로 생활 만족도를 감소시키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의 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실천적 개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Rae Hyuck photo

Lee, Rae Hyuck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