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컬리어 어주자 척도를 활용한 시각중복장애학생의 발달 수준 분석Analysis on Development Level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Additional Disabilities Using the Callier-Azusa Scale G

Other Titles
Analysis on Development Level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Additional Disabilities Using the Callier-Azusa Scale G
Authors
박순희
Issue Date
2019
Publisher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Keywords
평가; 발달 척도; 시각중복장애; 발달 수준; Evaluation; Developmental scale; Visual and additional Impairment; Multiple disability; Developmental level
Citation
시각장애연구, v.35, no.2, pp.61 - 77
Journal Title
시각장애연구
Volume
35
Number
2
Start Page
61
End Page
7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5090
ISSN
1229-2486
Abstract
평가는 시각장애학생의 개별적 요구에 맞는 교육계획에 수립하는 토대가 된다. 발달 척도는 표준화 검사와 일상 행동 관찰법과 더불어 주요 평가 방법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시각중복장애학생을 위해 개발된 발달 척도를 활용하여 발달 수준을 알아보고자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 참여자는 A맹학교 재학생 23명이었고, 발달 척도로 컬리어 어주자 척도가 사용되었다. 시각중복장애학생을 대상으로 발달 척도를 사용하여 나온 결과를 두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시각중복장애학생들은 컬리어 어주자 척도의 262개의 발달 기술 중 121개를 습득하여 46%의 수행 수준을 보였다. 다섯 가지 영역에서는 40-52%의 발달 기술 수행 수준을 보였다. 둘째, 컬리어 어주자 척도의 하위요소의 발달기술을 수행한 연령 구간 별 시각중복장애학생들의 분포는 다르게 나타났다. 시각중복장애학생들이 발달기술을 가장 낮게 수행한 연령 구간은 1-5개월이었고, 가장 높게 수행한 연령 구간은 36-47개월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시각중복장애학생 별로 보이는 발달 수준을 발달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고 그 결과를 개별화교육계획에 반영해볼 수 있겠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Bak, Sun hi photo

Bak, Sun hi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