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학령전기 뇌성마비 아동을 위한 수행-기초 실행기능 그룹 프로그램의 효과성Effectiveness of Performance-Basic Executive Function Group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Other Titles
Effectiveness of Performance-Basic Executive Function Group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uthors
문용선김은영
Issue Date
2018
Publisher
대한작업치료학회
Keywords
그룹 치료; 뇌성마비; 실행기능; 학령전기 아동; Cerebral palsy; Executive function; Group therapy; Preschooler
Citatio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26, no.2, pp 17 - 31
Pages
15
Journal Titl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ume
26
Number
2
Start Page
17
End Page
3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6602
DOI
10.14519/jksot.2018.26.2.02
ISSN
1226-0134
2671-4450
Abstract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수행-기초 실행기능 그룹 프로그램이 학령전기 뇌성마비 아동들의 실행기능을 증진시키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만 6세 학령전기 뇌성마비 아동 17명이 본 연구에 참가하였다.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를 사용하였고 수행 실행기능을 포함하는 만들기 활동과 기초 실행기능을 포함하는 게임 활동으로 구성된 그룹 중재 프로그램을 고안하여 치료군 아동에게 제공하였다. 치료 전・후 아동의 수행 실행기능은 운동처리기술평가(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AMPS)로 측정하였고 기초 실행기능은 해-달 과제, 8개 상자 과제, 아동 색 선로 과제2(Children's Color Trails Test 2; CCTT-2)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대기 명단의 대조군 아동들에게는 사전 사후 실행기능 평가만을 시행하였다. 결과:치료군은 AMPS 처리 기술, 해-달 과제, 8개 상자 과제, 아동 색 선로검사에서 사전검사 점수보다 높은 사후검사 점수를 보였다. 대조군은 AMPS 처리와 CCTT-2에서만 사전검사 점수보다 높은 사후검사 점수를 보였다. 치료군은 대조군보다 모든 실행기능 측정치에서 더 큰 향상을 나타냈다. 결론:본 연구는 수행-기초 실행기능 그룹 프로그램을 소개하였고, 이 중재 방법이 학령전기 뇌성마비 아동의 실행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Medical Sciences >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Eun Young photo

Kim, Eun Young
College of Medical Sciences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