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컴퓨터를 활용한 읽기 교수가 지적장애학생의 일견 단어 읽기 기술에 미치는 효과The Effects of the Computer-based Reading Instruction on the Sight Word Reading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Computer-based Reading Instruction on the Sight Word Reading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hors
이성용김진호
Issue Date
2016
Publisher
한국특수교육학회
Keywords
지적장애; 컴퓨터 활용 읽기 교수; 일견 단어; 지역사회 생활 기술; 교육공학; intellectual disabilities; computer-based reading instruction; sight word; community living skills; educational technology
Citation
특수교육학연구, v.50, no.4, pp 111 - 137
Pages
27
Journal Title
특수교육학연구
Volume
50
Number
4
Start Page
111
End Page
13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9847
ISSN
1229-0823
2733-8967
Abstract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특수교육에서 주요한 교육 목표 중 하나는 지역사회 환경에서 생활하는 데필요한 기술을 익히게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를 활용한 읽기 교수가 지적장애학생이 상점에서 활용하는 일견 단어를 읽는 데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지적장애 초등학생6명이며, 컴퓨터를 활용한 읽기 교수는 해당 학생이 다니는 특수학급에서 실시하였다. 그리고 일반화 프로브 측정은 학교 주변 지역사회 내 상점(슈퍼마켓, 문구점, 분식점)에서 이루어졌다. 연구 설계는 단일대상연구의 대상자 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이다. 특별히 본 연구에서는 짝을 이룬 두 명이 모둠으로중재에 참여하는 설계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학생이 지역사회 상점(슈퍼마켓, 문구점, 분식점)에서 활용하는 일견 단어 읽기 기술이 향상되었다. 둘째, 교실에서 습득한 일견단어 읽기 기술이 지역사회 상점에서도 일반화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중재의 효과 검증을 위하여 비모수통계의 윌콕슨 부호 순위 검증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 결과는 읽기 교육 및 교육공학 관점에서 논의되었으며,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성공적인 지역사회 생활을 위한 교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in ho photo

Kim, Jin ho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