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2015 개정 초등교육과정 1, 2학년 국어 교과서 수록 그림책에 나타난 성 역할 분석 - 2009년 개정 교육과정 국어 교과서 수록 그림책과 비교하여 -Analysis of Gender Roles in Picture Books on the [Korean] Textbook of the National Elementary Curriculum Revised in 2015

Other Titles
Analysis of Gender Roles in Picture Books on the [Korean] Textbook of the National Elementary Curriculum Revised in 2015
Authors
정주은[정주은]김민정[김민정]
Issue Date
2019
Publisher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Keywords
2015 개정 초등 교육과정; 국어 및 국어 활동 교과서; 그림책; 성 역할; National Elementary Curriculum Revised In 2015; Korean and Korean Activity Textbooks; Picture Books; Gender Roles
Citation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20, no.4, pp.1 - 23
Indexed
KCI
Journal Title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ume
20
Number
4
Start Page
1
End Page
2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13230
ISSN
1598-3277
Abstract
본 연구는 2015년 개정 초등교육과정 1, 2학년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그림책 55권에 그려진 성 역할을 분석하였다. 등장인물의 성별 비중을 보면, 남성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중성 인물이었고, 여성 인물이 가장 낮은 비율로 등장했다. 남성 등장인물은 여성보다 직업을 식별할 수 있는 경우가 월등히 많았으며 남성의 직업이 더 다양하게 그려졌다. 성별에 따른 활동내용에서는 성별과 무관하게 놀이, 여가 활동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나 가사 노동 활동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크게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대체로 남성 인물들은 성격이 입체적으로 변화하고, 성격을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어 다양한 형용사로 성격 이미지가 표현되었고, 여성 인물들은 성격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경우가 부족해 상대적으로 제한된 성격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초등 저학년 국어 교과서에 실린 그림책에서는 성별 출현도, 성별에 따른 직업의 유무와 직업의 다양성, 활동내용, 성격 이미지에서 아동에게 잘못된 성 역할 고정관념을 형성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아동이 올바른 성 역할 개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주의를 기울여 초등학교 교과서 수록 그림책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Child Psychology and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