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영화 <박쥐, Thirst>를 통해 본 시네마의 뉴미디어 되기

Authors
안근영윤준성
Issue Date
2014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Keywords
Cinema; New media; Deleuze & Guattari; Thirst; 시네마; 뉴미디어; 들뢰즈; 가타리; 되기 이론; 박쥐
Citation
기초조형학연구, v.15, no.6, pp.311 - 325
Journal Title
기초조형학연구
Volume
15
Number
6
Start Page
311
End Page
325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10634
ISSN
1598-8635
Abstract
본 논문은 뉴미디어 시대의 시네마가 변화하며 발전되는 일련의 과정이 뉴미디어로써 지속가능한 확장 가능성을지닌 매체로써 설명될 수 있다는 가설에서 출발한다. 뉴미디어가 새롭게 등장하는 매체에 따라 그 지위가 전복되는 역설적인 용어인 것처럼, 과거에는 뉴미디어로 다루어진 시네마는 디지털 미디어에 의해 그 지위가 다시 전복된다. 그러나 시네마는 새로운 매체의 등장 때마다 각각의 매체들을 재매개함으로서 새롭게 거듭났다. 이러한 현상은 질 들뢰즈와 펠릭스 가타리의 ‘되기’이론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시네마의 뉴미디어-되기는 설득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시네마의 뉴미디어-되기는 시네마가 타 미디어들을 변용하고 수용하는 가운데 미디어들의 경계를 허물어 새로운 시네마로 생성되는 것이다. 시네마가 새로운 형식으로 재정립되는 것은 본 연구의가설을 입증하는 하나의 이론으로써 그 의의가 있다. 이를 논구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한국영화 <박쥐, Thirst>를선정하였다. 영화 <박쥐>는 시네마의 본질이 뉴미디어 시대에서 뉴미디어-되기로써 어떻게 감응되는가를 보여주는 중요한 단서이다. 영화 <박쥐>는 시네마가 변화하지 않으려는 본성과 변화되고 있는 본성의 이중성을 드러내는 시네마의 뉴미디어-되기이다. 본 연구는 욕망을 지닌 <박쥐>의 캐릭터를 시네마의 뉴미디어-되기의 은유로 해석하여 이들을 병치하여 논구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Information Technology > Global School of Media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Yoon, Joonsung photo

Yoon, Joonsung
College of Information Technology (Global School of Media)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