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 전문대학의 미래 예측에 관한 연구Research on Forecasting the Future of Korea's Junior Colleges

Other Titles
Research on Forecasting the Future of Korea's Junior Colleges
Authors
이용균이기성
Issue Date
Jun-2010
Publisher
한국직업교육학회
Keywords
Junior college; Future forecast; Delphi; 전문대학; 미래 예측; 델파이
Citation
직업교육연구, v.29, no.2, pp.69 - 90
Journal Title
직업교육연구
Volume
29
Number
2
Start Page
69
End Page
90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15094
ISSN
1225-4762
Abstract
이 연구는 델파이 조사방법을 통해 학령인구 급감 등 급격한 환경변화에 놓일 것으로 보이는 2020년경의 전문대학 미래를 예측하고 이를 통해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이 연구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2020년 전문대학이 ‘대학입학자원의 감소’, ‘급격한 산업구조 변화’, ‘4년제 대학과의 경쟁 심화’ 등과 같은 어려운 환경 변화에 놓일 것으로 예측하고 있고, 이러한 환경 속에서 전문대학은 ‘전문직업기술인 양성’, ‘평생교육 지원’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둘째, 전문가들은 2020년경 전문대학의 존속 규모는 101개, 적정 규모는 82개로 제시하여 2009년 현재의 전문대학수 146개와 대비할 때 향후 상당수 전문대학의 폐지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셋째, 전문가들은 2020년 전문대학의 ‘존속 학교수’, ‘신입생의 기초학력수준’, ‘전임교원대 학생비’, ‘전체취업률 및 정규직 취업률’, ‘신입생 충원율’, ‘학력별 임금격차’에서 현행보다 악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 이유로는 ‘입학자원 감소’, ‘기업과 학생의 4년제 대학 선호 지속’, ‘전문대학의 재정 부족’ 등을 제시하고 있다. 미래 예측은 그 자체가 목적2이 아니며 긍정적 미래가 예측되면 이를 앞당기거나 강화하고, 부정적인 미래가 예상된다면 대안을 강구하여 희망하는 미래로 바꾸는데 의미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 우리나라 전문대학의 위기 상황은 현재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대학을 우리 사회에 필요한 교육기관으로 육성시키려면 위기를 기회로 전환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학생수가 급감하기 전에 정부와 대학이 협력하여 전문대학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시행해야 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Lifelong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Ki Sung photo

Lee, Ki Sung
College of Social Sciences (Department of Lifelong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