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뉴미디어를 통한 장소의 공간으로의 이행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Transition from the Site to the Space by New Media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ransition from the Site to the Space by New Media
Authors
방승애윤준성
Issue Date
Dec-2010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Keywords
space; social state; new media; Zograscope; google earth; 공간; 사회적 상황; 뉴미디어; 조그라스코프; 구글어스; space; social state; new media; Zograscope; google earth
Citation
기초조형학연구, v.11, no.6, pp.287 - 298
Journal Title
기초조형학연구
Volume
11
Number
6
Start Page
287
End Page
298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15424
ISSN
1598-8635
Abstract
본 논문은 새로운 매체를 통하여 물리적 장소가 비물리적 공간으로 이행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그것이 어떻게 사회적으로 연결되는지를 설명한다. 각 시대에 따른 새로운 매체의 출현은 역사적으로 지속적인 움직임이었다. 그러나 새로운 매체의 영향에 대한 이론적 판단과 연구는 동시대에 진행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곤 한다. 오히려 18세기의 새로운 기기를 통한 매체의 확장은 현재의 새로운 매체를 통한 변화와 유비적으로 논고될 수 있는 굵은 실마리를 제공한다. 현재의 논의를 통하여 18세기 물리적인 장소가 개인적인 공간으로 이행하는 과정은 현재의 정보공간이 다시 공적 공간으로 순환되는 연결고리를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 논의하는 공간은 시간을 포용하는 확장적인 영역으로서 비물리적이며, 개인적이고, 동시에 공적이므로, 역사적, 사회적 흐름만으로 논의를 한정할 수 없다. 따라서 장소가 공간으로 이행하는 현대 사회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해 장소와 공간의 변별점을 설명하고, 18세기 영국의 조그라스코프가 유행했던 당대 사회적 상황을 살펴보면서, 당시의 새로운 도구인 조그라스코프가 매체로서 창출한 개인적인 공간을 알아본다. 그리고 구글어스와 현재 사회적 현상을 통하여 구글어스의 공간이 가지는 공간의 사유화와 공적 공간으로의 확장에 대하여 논고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Information Technology > Global School of Media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Yoon, Joonsung photo

Yoon, Joonsung
College of Information Technology (Global School of Media)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