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Q방법을 활용한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의 경력성공에 대한 인식유형 분석An Analysis of the Perception Types of Career Success in Millennial Workers: Using a Q Methodological Approach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Perception Types of Career Success in Millennial Workers: Using a Q Methodological Approach
Authors
윤동현유기웅
Issue Date
Mar-2021
Publisher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Keywords
Millennials; office workers; career success; Q methodology;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 경력성공; Q방법론
Citation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v.16, no.1, pp.111 - 141
Journal Title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Volume
16
Number
1
Start Page
111
End Page
141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40893
ISSN
1975-0323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의 경력성공에 대한 인식유형을 도출하고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국내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 30명을 대상으로 Q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의 경력성공에 대한 인식유형은 총 3개의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유형Ⅰ의 ‘자기주도적 경력비전 성취형’은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함으로써 행복을 느끼고 직무에 대한 만족감과 성취감을 느끼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 유형Ⅱ의 ‘경제적 자유와 안정 지향형’은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 수 있는 경제적 자유와 안정적인 생활을 유지하는 것을 희망했다. 유형Ⅲ의 ‘능력중심 업적 달성 추구형’은 자신의 직업 잠재능력을 최대치로 발휘해 고용시장에서 시장가치와 고용가능성을 높게 평가받길 원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의 경력성공에 관한 인식은 첫째, 인식유형별로 뚜렷한 차이점과 특성이 존재한다. 둘째, 경력성공의 다차원적 영역을 고려하고 있다. 셋째, 경력성공 인식차원 중 독립적 근로, 평생직업, 사회적 기여는 2개 이상의 인식유형에서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끝으로 본 연구는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의 유형별 특성에 적합한 경력개발 프로그램과 커리어코칭 서비스,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설계와 지원이 필요하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Lifelong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Ryu, Ki ung photo

Ryu, Ki ung
College of Social Sciences (Department of Lifelong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