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Evaluating Visual Perception Responses for Spatial Image of Greenness Index Using Eye Tracking시선추적을 활용한 공간이미지의 녹시율 차이 시지각 반응 평가

Other Titles
시선추적을 활용한 공간이미지의 녹시율 차이 시지각 반응 평가
Authors
최진경김주연
Issue Date
Oct-2023
Publisher
대한건축학회
Keywords
시지각 반응; 녹시율; 시각주의력; 공간탐색; 시선추적; Perception Response; Index of Greenness; Visual Attention; Spatial Exploration; Eye Tracking
Citation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39, no.10, pp 63 - 74
Pages
12
Journal Title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ume
39
Number
10
Start Page
63
End Page
7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44679
DOI
10.5659/JAIK.2023.39.10.63
ISSN
2733-6239
2733-6247
Abstract
시각적 주의집중력에 피로감으로 그 능력이 저하된다. 시각적 주의집중력을 회복하기 위해 공간계획에 인간의 생리적,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자연적 요소를 적용한다. 선행연구에서 자연요소가 공간과의 조화를 어느 정도 이루었는지에 따라 공간 만족도 및 선호도에 차이를 보인다고 하였다. 시선추적 실험을 통한 공간 탐색 및 집중으로 나타난 주시특성의 분석으로 건축·디자인 교육 경험에 따라 녹시율의 차이로 공간의 관심과 선호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시각자극물은 공간이미지 a(녹시율 : 0%), 공간이미지 b(녹시율:9.6%), 공간이미지 c(57.59%)로 녹시율의 차이가 있다. 실험참가자는 Major 64명(예비:1, 본실험:63), Non-Major 67명(예비:1, 본실험:66)이다. 시선추적 실험은 공간이미지 1개당 123초씩 제시되어 총 369초 진행되었다. 건축·디자인 교육에 따라 경험이 있는 경우 Saccade의 값으로 공간탐색이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경험이 없는 경우 Fixation의 값으로 시각적 주의집중력이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Fixation 데이터로 살펴본 b의 주시특성은 교육경험이 있을 때 시각적 주의집중력은 실험시간 중반부터 변화가 시작하여 종반에는 가장 높은 빈도로 높았다. 교육경험이 없는 경우 실험시간 전체에서 변화가 있었다. 중반, 종반에 포함된 시간 단계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공간 탐색에 경우 Saccade 데이터가 교육경험이 있는 때 실험시간 종반에 변화가 가장 많이 보였다. 교육경험이 없을 때 초반과 중반에서 변화가 확인되었다. 측정된 주시데이터를 통한 정량적 데이터 분석으로 기존 선행연구의 결과를 검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자연적 요소가 공간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시선추적 실험을 통한 데이터 분석을 하였다. 공간계획에서 심리적으로 안정된 공간을 위해 필요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였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 School of Architec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U YEON photo

KIM, JU YEON
College of Engineering (School of Architec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