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국내 고등학교 재난안전교육 실태분석을 통한 교육효과 증진 방안 연구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 Effect through the Analysis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in High Schools in Korea.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 Effect through the Analysis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in High Schools in Korea.
Authors
권용희조인수
Issue Date
Sep-2023
Publisher
한국재난정보학회
Keywords
disaster safety education; life cycle safety education; school safety education standards; and the Framework Act on the Promotion of National Safety Education; 고등학교 재난안전교육; 생애주기별 안전교육; 학교안전교육 7대 영역표준안
Citation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19, no.3, pp 710 - 718
Pages
9
Journal Title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ume
19
Number
3
Start Page
710
End Page
71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49430
DOI
10.15683/kosdi.2023.9.30.710
ISSN
1976-2208
2671-5287
Abstract
연구목적 :재난이나 사고 발생 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안전에 대한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는 교육으로 인식되는 안전교육 관점에서 교육의 목표는 지식역량, 태도역량, 행동역량의 유기적 관계 속에서 재난 시 재난규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힘을 기르는 것이다. 안전교육의 실태를 고등학교 학생 대상 설문을 통해 파악하여 교육 효과 증진 방안을 찾는다. 연구방법 : 재난 안전 인식 설문 12문항에 대해 Likert의 5점 척도로 직접 기입법을 활용하여 응답받았으며, 연구가설을 설정·검정하는데 SPSS 24와 배리맥스(varimax,직교회전)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독립변수인 지식역량, 태도역량이 종속변수인 행동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결론 : 안전교육 목표인 재난 시 스스로를 지킬 수 있는 국민행동역량이 갖추어져 앞으로 우리가 마주하게 될 피할 수 없는 다양한 재난을 지혜롭게 극복할 수 있는 실제적인 재난안전교육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각도에서 지속적인 연구와 검증이 필요하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 IN SU photo

CHO, IN SU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