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북한 이탈 주민 대학생의 북한말 및 사회언어적 배경을 활용한 영어 교수법 활용 연구Teaching English using North-Korean defectors’ mother-language and socio-linguistic backgrounds

Other Titles
Teaching English using North-Korean defectors’ mother-language and socio-linguistic backgrounds
Authors
정성희조은식
Issue Date
Apr-2017
Publisher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Keywords
북한 이탈 주민 영어 교육; 대학영어교육; 제2방언 연구; 북한 이탈 주민 영어 프로그램 개발; North Korean defector study; 2nd dialect acquisition; English speaking & writing; learner satisfaction
Cita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17, no.7, pp.383 - 407
Journal Title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ume
17
Number
7
Start Page
383
End Page
407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6793
DOI
10.22251/jlcci.2017.17.7.383
ISSN
1598-2106
Abstract
본 연구는 북한 이탈 주민 학습자(이하 탈북 학습자)들의 모국어인 북한어 배경을 활용하여 영어를 가르친 후, 학습자 영어능력과 선호도 향상에 기여하였는지 고찰한 연구이다. 한국어적 표현과 의미가 아닌 북한어 식 어휘와 표현을 활용하여 뜻을 이해시킨 후 영어를 가르치는 “학습자 모국어와 사회언어적 특성을 고려한 교수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3인의 교수자가 주 1회 - 75분, 15주간 교수하였다. 중학교 2학년 수준의 어휘와 문법을 활용한 사전·사후 시험을 통해 학습자 영어능력 향상을 살펴보았으며, 영어 선호도 변화는 참여관찰기록 및 사전·사후 설문과 인터뷰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북한 이탈 주민 학습자의 모국어 및 사회언어적 지식을 활용한 영어 프로그램은 탈북자 영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영어능력 부족으로 한국 사회 정착에 곤란을 겪고 있는 탈북 학습자들이 사회언어적·문화적 스키마 활용 후 어휘, 문장 습득, 말하기, 쓰기 능력의 향상이 일어났다. 끝으로 본 프로그램은 학습자가 가졌던 영어에 대한 두려움을 긍정적 호감으로 바꾸는 데 기여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탈북 학습자들의 한국 교육과정 적응에 도움을 주어 영어 학습의 긍정적 언어 자아실현을 돕고자 하였다. 소수에 대한 질적 연구이므로 본 교수법의 실효성을 입증할 수 있는 후속 연구의 필요성 또한 제기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Baird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eong, Sung Hui photo

Cheong, Sung Hui
Colleges (Baird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