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한 문화콘텐츠산업의 생산 및 부가가치파급효과 분석

Authors
오현석다라진현정권혁인
Issue Date
Aug-2015
Publisher
한국산업경제학회
Keywords
산업연관모형; 문화콘텐츠산업; 경제적 파급효과; 외생화; Input-Output Model; Cultural Contents Industry; Economic ripple Impact; Exogenous specification
Citation
산업경제연구, v.28, no.4, pp 1331 - 1351
Pages
21
Journal Title
산업경제연구
Volume
28
Number
4
Start Page
1331
End Page
135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10637
ISSN
1229-201X
Abstract
본 연구는 다양한 기술의 활용과 미디어의 발전으로 외연이 확장되고, 미래성장동력으로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문화콘텐츠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추정하였다. 가장 최근인 2014년에 발표된 산업연관표의 통합대분류를 기준으로 하여 문화콘텐츠산업의 특성에 맞게 출판, 방송, 광고, 문화서비스, 영화, 스포츠 및 오락서비스산업 6부문으로 재분류하였다. 생산 및 부가가치유발효과와 전·후방연쇄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파급효과가 어떻게 변해왔는가를 지난 기간의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분석을 하였으며, 더 나아가 타산업의 효과를 분석한 기존연구들의 결과와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문화콘텐츠산업부문은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체로 문화콘텐츠산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비교적 생산유발효과는 크지 않으나, 부가가치유발효과는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감응도계수와 영향력계수 분석결과, 모든 문화콘텐츠산업 부문의 영향력계수가 감응도계수에 비해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문화콘텐츠산업이 타산업의 생산을 견인하는 영향력이 있음을 제시한다. 특히, 출판, 방송, 광고, 영화산업의 영향력계수가 크게 나타난 것은 이 산업들의 투자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importance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in Korean economy has increased. Considering this fact, this study tries to estimate the economic ripple effect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By using input-output table of year 2014, this study categorizes cultural contents industry into six different industries: publishing, broadcasting, advertising, film, cultural service, sports and entertainment industry. We analyzed the production-inducing effects, the value-added-inducing effects and the backward-forward linkage effects. In addition, the analysis for the dynamic features of the ripple effect and the comparison with results from other studies were completed. Results show that, although the proportion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in Korea economy is not large, the proportion has consistently increased as time passed. The production-inducing effect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was found to be relatively lower, while the value-added-inducing effect was relatively higher. In all parts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the index of the power of dispersion is larger than the index of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The results imply that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pull the supply of other industries. Especially, the index of the power of dispersion of the publishing, broadcasting, advertising and film industry are relatively high, meaning that the economic ripple effect is relatively large.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 Economics >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College of Business & Economics > School of Economic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in, Hyun Joung photo

Jin, Hyun Joung
경영경제대학 (경제학부(서울))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